구름
카테고리 없음

한자 사자성어 (18) ⭕️

by 구름과 하늘 7 2024. 6. 15.
반응형

"* 黍離之歎(서리지탄)*: 기장만 무성함의 탄식이라는 뜻으로, 나라가 망하여 그 대궐 터에 기장이 무성함을 보고 탄식하였다는 고사에서
세상의 영고성쇠(榮枯盛衰)가 *무상*함을 탄식한다는 말."
* 庶母(서모)*: (1)*아버지*의 첩. (2)‘계모’의 방언.
"* 西方淨土(서방정토)*: *서쪽*으로 십만 억의 국토를 지나면 있는 아미타불의 세계.
#국토 #세계 #저편 #아미타불 #안락 #불토 #정토 #두고 #인간 #극락 #사바 #불교 #지방 #의미 #저쪽 #*서쪽* #사이"
* 西方淨土(서방정토)*: 서*쪽*으로 십만 억의 국토를 지나면 있는 아미타불의 세계.
"* 西方淨土(서방정토)*: 서쪽으로 십만 억의 국토를 지나면 있는 아미타불의 *세계*.
#국토 #*세계* #저편 #아미타불 #안락 #불토 #정토 #두고 #인간 #극락 #사바 #불교 #지방 #의미 #저쪽 #서쪽 #사이"
* 西方淨土(서방정토)*: 서쪽으로 십만 억의 국토를 지나면 있는 아미타불의 세계.
"* 西方行者(서방행자)*: 극락에 가려고 염불하는 사람.
#극락 #염불 #세계 #사람"
* 書不盡言(서부진언)*: 글로는 생각을 충분히 다 *표현*할 수 없음.
* 書不借人(서불차인)*: *책*은 남에게 빌려주지 않는다는 말.
* 書不借人(서불차인)*: 책은 남에게 빌려주지 않는다는 말.
"* 西山落日(서산낙일)*: (1)서산에 지는 해. (2)*세력*이나 힘 따위가 기울어져 멸망하게 된 판국을 이르는 말.
#따위 #상황 #비유 #*세력* #힘 #멸망 #산 #판국 #형세"
* 西山落日(서산낙일)*: (1)서산에 지는 해. (2)세력이나 *힘* 따위가 기울어져 멸망하게 된 판국을 이르는 말.
"* 書生文學(서생문학)*: 아직 습작 과정에 있는 사람의 *작품*. 또는 그 과정의 문학.
#일 #과정 #*작품* #문학 #일가 #사람"
"* 書生文學(서생문학)*: 아직 습작 과정에 있는 사람의 작품. 또는 그 과정의 *문학*.
#일 #과정 #작품 #*문학* #일가 #사람"
* 書生文學(서생문학)*: 아직 습작 과정에 있는 사람의 작품. 또는 그 과정의 문*학*.
"* 西勢東漸(서세동점)*: *서양* 세력이 동양의 세력 범위에 점차 침투하여 정치ㆍ경제ㆍ문화 따위의 여러 부문을 지배함. 또는 그러한
시대적 흐름이나 경향.
#범위 #흐름 #지배 #차차 #시대 #동쪽 #문화 #세력 #경향 #정치 #따위 #동양"
"* 西勢東漸(서세동점)*: 서양 *세력*이 동양의 *세력* 범위에 점차 침투하여 정치ㆍ경제ㆍ문화 따위의 여러 부문을 지배함. 또는
그러한 시대적 흐름이나 경향."
"* 西勢東漸(서세동점)*: 서양 세력이 동양의 세력 범위에 점차 침투하여 정치ㆍ경제ㆍ문화 따위의 여러 부문을 *지배*함. 또는 그러한
시대적 흐름이나 경향.
#범위 #흐름 #*지배* #차차 #시대 #동쪽 #문화 #세력 #경향 #정치 #따위 #동양"
"* 西勢東漸(서세동점)*: 서양 세력이 동양의 세력 범위에 점차 침투하여 정치ㆍ경제ㆍ문화 따위의 여러 부문을 지배함. 또는 그러한
*시대*적 흐름이나 경향."
* 庶叔(서숙)*: 할*아버지*의 서자(庶子)를 숙부로서 이르는 말.
"* 西施捧心(서시봉심)*: 서시가 가슴을 움켜잡는다는 뜻으로, 가슴앓이를 견디기 어려워 가슴에 손을 대고 찌푸린 서시의 *얼굴*이 매우
아름다웠는데, 못난 여자가 따라해 사람들이 놀랐다는 고사에서, 주관 없이 맹목적으로 남을 따르는 잘못된 행위를 비판하는 의미로 사용됨."
"* 西施捧心(서시봉심)*: 서시가 가슴을 움켜잡는다는 뜻으로, 가슴앓이를 견디기 어려워 가슴에 손을 대고 찌푸린 서시의 얼굴이 매우
아름다웠는데, 못난 *여자*가 따라해 사람들이 놀랐다는 고사에서, 주관 없이 맹목적으로 남을 따르는 잘못된 행위를 비판하는 의미로
사용됨."
"* 西施捧心(서시봉심)*: 서시가 가슴을 움켜잡는다는 뜻으로, 가슴앓이를 견디기 어려워 가슴에 손을 대고 찌푸린 서시의 얼굴이 매우
아름다웠는데, 못난 여자가 따라해 사람들이 놀랐다는 *고사*에서, 주관 없이 맹목적으로 남을 따르는 잘못된 행위를 비판하는 의미로
사용됨."
"* 西施捧心(서시봉심)*: 서시가 가슴을 움켜잡는다는 뜻으로, 가슴앓이를 견디기 어려워 가슴에 손을 대고 찌푸린 서시의 얼굴이 매우
아름다웠는데, 못난 여자가 따라해 사람들이 놀랐다는 고사에서, 주관 없이 맹*목적*으로 남을 따르는 잘못된 행위를 비판하는 의미로
사용됨.
#여자 #서시 #흉내 #행위 #주관 #가슴 #잘못 #사용 #의미 #얼굴 #시가 #웃음거리 #비판 #맹*목적* #고사 #사람"
"* 西施捧心(서시봉심)*: 서시가 가슴을 움켜잡는다는 뜻으로, 가슴앓이를 견디기 어려워 가슴에 손을 대고 찌푸린 서시의 얼굴이 매우
아름다웠는데, 못난 여자가 따라해 사람들이 놀랐다는 고사에서, 주관 없이 맹목적으로 남을 따르는 잘못된 행위를 비판하는 의미로 *사용*
됨."
"* 西施矉目(서시빈목)*: 서시빈목(西施顰目). 서시가 눈을 찡그린다는 뜻으로, 함부로 남을 흉내내다가 *웃음*거리가 됨을 이르는 말.
#서시 #흉내 #눈 #시가 #*웃음*거리"
"* 西施顰目(서시빈목)*: 월(越)나라의 유명(有名)한 *미인*(美人) 서시(西施)가 눈을 찌푸린 것을 아름답게 본 못난 여자(女子)가
그 흉내를 내고다녀 더욱 싫게 보였다는 고사에서 유래(由來)한 말로, 분수(分數)를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(無條件) 남을 따라하는 것을
비유(比喩)하는 말."
"* 西施顰目(서시빈목)*: 월(越)나라의 유명(有名)한 미인(美人) 서시(西施)가 눈을 찌푸린 것을 아름답게 본 못난 *여자*(女子)가
그 흉내를 내고다녀 더욱 싫게 보였다는 고사에서 유래(由來)한 말로, 분수(分數)를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(無條件) 남을 따라하는 것을
비유(比喩)하는 말."
"* 西施顰目(서시빈목)*: 월(越)나라의 유명(有名)한 미인(美人) 서시(西施)가 눈을 찌푸린 것을 아름답게 본 못난 여자(女子)가 그
흉내를 내고다녀 더욱 싫게 보였다는 *고사*에서 유래(由來)한 말로, 분수(分數)를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(無條件) 남을 따라하는 것을
비유(比喩)하는 말."
"* 西施顰目(서시빈목)*: 월(越)나라의 유명(有名)한 미인(美人) 서시(西施)가 눈을 찌푸린 것을 아름답게 본 못난 여자(女子)가 그
흉내를 내고다녀 더욱 싫게 보였다는 고사에서 유래(由來)한 말로, *분수*(分數)를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(無條件) 남을 따라하는 것을
비유(比喩)하는 말.
#여자 #서시 #흉내 #미인 #말 #눈 #*분수* #나라 #생각 #비유 #유명 #고사 #유래"
"* 西施有所醜(서시유소추)*: *미인*(美人)인 서시에게도 추한 데가 있다는 뜻으로, 현인(賢人)에게도 단점(短點)이 있음을
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#서시 #*미인* #비유 #단점 #현인"
"* 書信往來(서신왕래)*: 편지(便紙)로 전(傳)하는 *소식*(消息)이 오고 감.
#*소식*"
"* 書信往來(서신왕래)*: 편지(便紙)로 전(傳)하는 소식(消息)이 오고 감.
#소식"
* 庶孼差待(서얼차대)*: *조선* 시대에, 첩의 자식 및 그 자손을 차별하여 대우하던 일.
* 庶孼差待(서얼차대)*: 조선 *시대*에, 첩의 자식 및 그 자손을 차별하여 대우하던 일.
* 庶孼差待(서얼차대)*: 조선 시대에, 첩의 *자식* 및 그 자손을 차별하여 대우하던 일.
"* 恕而行之(서이행지)*: 용서하고 *행동*한다는 뜻으로, 남의 처지를 깊이 동정하는 마음으로써 일을 행한다는 의미.
#일 #마음 #용서 #의미 #동정 #*행동*"
"* 恕而行之(서이행지)*: 용서하고 행동한다는 뜻으로, 남의 *처지*를 깊이 동정하는 마음으로써 일을 행한다는 의미.
#일 #마음 #용서 #의미 #동정 #행동"
"* 恕而行之(서이행지)*: 용서하고 행동한다는 뜻으로, 남의 처지를 *깊이* 동정하는 마음으로써 일을 행한다는 의미.
#일 #마음 #용서 #의미 #동정 #행동"
* 恕而行之(서이행지)*: 용서하고 행동한다는 뜻으로, 남의 처지를 깊이 동정하는 *마음*으로써 일을 행한다는 의미.
* 恕而行之(서이행지)*: 용서하고 행동한다는 뜻으로, 남의 처지를 깊이 동정하는 마음으로써 일을 행한다는 *의미*.
"* 書忍字一百(서인자일백)*: 참을 忍(인) 백 자를 쓴다는 뜻으로, *가정*(家庭)의 화목(和睦)은 서로가 인내(忍耐)하는 데 있다는
말.
#말 #백 #서로 #*가정* #화목"
"* 筮子(서자)*: 처음으로 *관리*가 됨. 예전에 중국에서 처음 관직에 임명될 때에, 길흉을 점쳤던 일에서 유래한다.
#일 #말 #예전 #때 #관직 #*관리* #중국 #옛날 #임명 #길흉 #점 #벼슬 #처음 #유래"
* 書自書我自我(서자서아자아)*: 글은 글대로 나는 나대로라는 뜻으로, 글은 읽고 있으나 *정신*은 딴 데에 있음을 이르는 말.
"* 鼠竊狗偸(서절구투)*: 쥐나 개처럼 몰래 *물건*을 훔친다는 뜻으로, ‘좀도둑’을 이르는 말.
#좀도둑 #표현 #준말 #욕 #*물건*"
* 庶政刷新(서정쇄신)*: 여러 방면에서 정치 폐단을 고쳐 *새*롭게 함.
* 庶祖母(서조모)*: 할*아버지*의 첩.
"* 西河之痛(서하지통)*: 서하의 *고통*이라는 뜻으로, 공자(孔子)의 제자인 자하(子夏)가 서하(西河)에 있을 때 자식을 잃고 너무
슬픈 나머지 소경이 된 고사에서 온 말에서 자식을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.
#자식 #말 #때 #사용 #제자 #孔子 #*고통* #소경 #슬픔 #부모 #공자 #고사 #서하"
"* 西河之痛(서하지통)*: 서하의 고통이라는 뜻으로, *공자*(孔子)의 제자인 자하(子夏)가 서하(西河)에 있을 때 자식을 잃고 너무
슬픈 나머지 소경이 된 고사에서 온 말에서 자식을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.
#자식 #말 #때 #사용 #제자 #孔子 #고통 #소경 #슬픔 #부모 #*공자* #고사 #서하"
"* 西河之痛(서하지통)*: 서하의 고통이라는 뜻으로, 공자(孔子)의 *제자*인 자하(子夏)가 서하(西河)에 있을 때 자식을 잃고 너무
슬픈 나머지 소경이 된 고사에서 온 말에서 자식을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.
#자식 #말 #때 #사용 #*제자* #孔子 #고통 #소경 #슬픔 #부모 #공자 #고사 #서하"
"* 西河之痛(서하지통)*: 서하의 고통이라는 뜻으로, 공자(孔子)의 제자인 자하(子夏)가 서하(西河)에 있을 때 *자식*을 잃고 너무
슬픈 나머지 소경이 된 고사에서 온 말에서 *자식*을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.
#*자식* #말 #때 #사용 #제자 #孔子 #고통 #소경 #슬픔 #부모 #공자 #고사 #서하"
"* 西河之痛(서하지통)*: 서하의 고통이라는 뜻으로, 공자(孔子)의 제자인 자하(子夏)가 서하(西河)에 있을 때 자식을 잃고 너무 슬픈
나머지 소경이 된 *고사*에서 온 말에서 자식을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.
#자식 #말 #때 #사용 #제자 #孔子 #고통 #소경 #슬픔 #부모 #공자 #*고사* #서하"
"* 西河之痛(서하지통)*: 서하의 고통이라는 뜻으로, 공자(孔子)의 제자인 자하(子夏)가 서하(西河)에 있을 때 자식을 잃고 너무 슬픈
나머지 소경이 된 고사에서 온 말에서 자식을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로 *사용*됨.
#자식 #말 #때 #*사용* #제자 #孔子 #고통 #소경 #슬픔 #부모 #공자 #고사 #서하"
"* 瑞花(서화)*: ‘눈’을 달리 이르는 말. *풍년*이 들게 하는 꽃이라는 뜻이다.
#옷 #*풍년* #눈 #문과 #급제 #꽃 #평민 #합격 #석가 #관복 #벼슬 #조짐 #처음 #과거"
* 瑞花(서화)*: ‘눈’을 달리 이르는 말. 풍년이 들게 하는 *꽃*이라는 뜻이다.
"* 席藁待罪(석고대죄)*: 거적을 깔고 엎드려서 임금의 처분이나 *명령*을 기다리던 일.
#일 #처분 #*명령* #죄 #임금 #처벌 #죄과 #의미 #기다림 #거적"
"* 碩果不食(석과불식)*: 큰 과실을 다 먹지 아니하고 남긴다는 뜻으로, 자기만의 *욕심*을 버리고 자손에게 복을 줌을 이르는 말.
#복 #과실 #*욕심* #억제 #자손"
* 席卷之勢(석권지세)*: 돗*자리*를 마는 기세라는 뜻으로, 세력이 빠르고 거침없이 휩쓸어 나가는 기세를 이르는 말.
"* 席卷之勢(석권지세)*: 돗자리를 마는 *기세*라는 뜻으로, 세력이 빠르고 거침없이 휩쓸어 나가는 *기세*를 이르는 말.
#말 #*기세* #준말 #의미 #세력 #자리 #형세"
"* 席卷之勢(석권지세)*: 돗자리를 마는 기세라는 뜻으로, *세력*이 빠르고 거침없이 휩쓸어 나가는 기세를 이르는 말.
#말 #기세 #준말 #의미 #*세력* #자리 #형세"
"* 釋根灌枝(석근관지)*: *뿌리*를 버려 두고 가지에 물을 준다는 뜻으로, 근본(根本)을 잊고 지엽(枝葉)에만 힘씀을 이르는 말.
#두고 #근본 #물 #*뿌리*"
* 釋根灌枝(석근관지)*: 뿌리를 버려 두고 가지에 물을 준다는 뜻으로, *근본*(根本)을 잊고 지엽(枝葉)에만 힘씀을 이르는 말.
"* 釋服從吉(석복종길)*: 상*복*을 입는 기간이 끝나기 전에 상*복*을 벗고 일상*복*으로 갈아입는 일. 조선 시대에는 이러한 경우,
≪당률소의≫에 따라 도형(徒刑) 3년에 처하였다."
"* 釋服從吉(석복종길)*: 상복을 입는 기간이 끝나기 전에 상복을 *벗*고 일상복으로 갈아입는 일. 조선 시대에는 이러한 경우,
≪당률소의≫에 따라 도형(徒刑) 3년에 처하였다.
#일 #상복 #복 #사람 #경우 #기간 #시대 #3년 #의미 #십악 #즐거움 #조선 #가운데 #애도 #상중"
"* 釋服從吉(석복종길)*: 상복을 입는 기간이 끝나기 전에 상복을 벗고 일상복으로 갈아입는 일. *조선* 시대에는 이러한 경우,
≪당률소의≫에 따라 도형(徒刑) 3년에 처하였다.
#일 #상복 #복 #사람 #경우 #기간 #시대 #3년 #의미 #십악 #즐거움 #*조선* #가운데 #애도 #상중"
"* 釋服從吉(석복종길)*: 상복을 입는 기간이 끝나기 전에 상복을 벗고 일상복으로 갈아입는 일. 조선 *시대*에는 이러한 경우,
≪당률소의≫에 따라 도형(徒刑) 3년에 처하였다.
#일 #상복 #복 #사람 #경우 #기간 #*시대* #3년 #의미 #십악 #즐거움 #조선 #가운데 #애도 #상중"
"* 釋服從吉(석복종길)*: 상복을 입는 기간이 끝나기 전에 상복을 벗고 일상복으로 갈아입는 일. 조선 시대에는 이러한 *경우*,
≪당률소의≫에 따라 도형(徒刑) 3년에 처하였다.
#일 #상복 #복 #사람 #*경우* #기간 #시대 #3년 #의미 #십악 #즐거움 #조선 #가운데 #애도 #상중"
"* 席不暇暖(석불가난)*: 앉은 *자리*가 따뜻할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, *자리*나 주소를 자주 옮기거나 매우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
말."
"* 席不暇暖(석불가난)*: 앉은 자리가 따뜻할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, 자리나 주소를 자주 옮기거나 매우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.
#말 #겨를 #앉은자리 #방 #따뜻 #의미 #자리 #행동 #주소"
* 釋紛利俗(석분이속)*: 이상(以上) 팔인의 *재주*를 다하여 어지러움을 풀어 풍속(風俗)에 이롭게 함.
* 釋紛利俗(석분이속)*: 이상(以上) 팔인의 재주를 다하여 어지러움을 *풀*어 풍속(風俗)에 이롭게 함.
"* 釋紛利俗(석분이속)*: 이상(以上) 팔인의 재주를 다하여 어지러움을 풀어 *풍속*(風俗)에 이롭게 함.
#재주 #*풍속* #이상"
* 席上揮毫(석상휘호)*: 그림이나 글씨를 앉은*자리*에서 즉시 그리거나 쓰는 일.
* 石心鐵腸(석심철장)*: *돌* 심장과 쇠 창자라는 뜻으로, 단단한 *돌* 같은 마음과 쇠 같은 창자처럼 지조가 굳음을 비유하는 말.
"* 釋眼儒心(석안유심)*: *석가모니*의 눈과 공자의 마음이라는 뜻으로, 매우 자비롭고 어진 마음으로 사랑함을 이르는 말.
#자비 #일 #마음 #사랑 #눈 #孔子 #석가 #사랑함 #공자 #*석가모니*"
"* 釋眼儒心(석안유심)*: 석*가모*니의 눈과 공자의 마음이라는 뜻으로, 매우 자비롭고 어진 마음으로 사랑함을 이르는 말.
#자비 #일 #마음 #사랑 #눈 #孔子 #석가 #사랑함 #공자 #석*가모*니"
* 釋眼儒心(석안유심)*: 석가모니의 눈과 *공자*의 마음이라는 뜻으로, 매우 자비롭고 어진 마음으로 사랑함을 이르는 말.
"* 釋眼儒心(석안유심)*: 석가모니의 눈과 공자의 마음이라는 뜻으로, 매우 *자비*롭고 어진 마음으로 사랑함을 이르는 말.
#*자비* #일 #마음 #사랑 #눈 #孔子 #석가 #사랑함 #공자 #석가모니"
* 釋眼儒心(석안유심)*: 석가모니의 눈과 공자의 마음이라는 뜻으로, 매우 자비롭고 어진 마음으로 *사랑*함을 이르는 말.
"* 惜玉憐香(석옥연향)*: 옥을 소중히 아끼고 *향기*를 어여삐 여긴다는 뜻으로, 옥과 향을 사랑한다는 의미에서 옥과 향이 여자를
비유함으로 여색을 좋아한다는 의미로 사용됨.
#여자 #사랑 #사용 #비유 #의미 #여색"
"* 惜玉憐香(석옥연향)*: 옥을 소중히 아끼고 향기를 어여삐 여긴다는 뜻으로, 옥과 향을 *사랑*한다는 의미에서 옥과 향이 여자를
비유함으로 여색을 좋아한다는 의미로 사용됨."
"* 惜玉憐香(석옥연향)*: 옥을 소중히 아끼고 향기를 어여삐 여긴다는 뜻으로, 옥과 향을 사랑한다는 의미에서 옥과 향이 *여자*를
비유함으로 여색을 좋아한다는 의미로 사용됨."
"* 惜玉憐香(석옥연향)*: 옥을 소중히 아끼고 향기를 어여삐 여긴다는 뜻으로, 옥과 향을 사랑한다는 의미에서 옥과 향이 여자를
비유함으로 여색을 좋아한다는 의미로 *사용*됨."
"* 石田耕牛(석전경우)*: 자갈밭을 가는 소라는 뜻으로, 황해도 사람의 인내심 강하고 부지런한 성격을 이르는 말.
#강 #말 #성격 #소란 #부지런 #황해도 #사람"
"* 石蹲壯士拳峰尖文章筆(석준장사권봉첨문장필)*: *돌*이 박혀 있는 것은 장사의 주먹이요, 봉오리의 뾰족함은 문장(文章)의(글쓰는)
붓임."
"* 石蹲壯士拳峰尖文章筆(석준장사권봉첨문장필)*: 돌이 박혀 있는 것은 장사의 주*먹이*요, 봉오리의 뾰족함은 문장(文章)의(글쓰는)
붓임.
#장사 #돌이 #붓 #문장"
"* 石蹲壯士拳峰尖文章筆(석준장사권봉첨문장필)*: 돌이 박혀 있는 것은 장사의 주먹이요, 봉오리의 뾰족함은 문장(文章)의(글쓰는) *붓*
임.
#장사 #돌이 #*붓* #문장"
"* 惜指失掌(석지실장)*: 손가락을 아끼려다가 손*바닥*마저 잃는다는 뜻으로, 작을 것을 아끼려다 큰 일을 그르치는 상황을 비유하여
이르는 말.
#일 #손가락 #손*바닥* #상황 #비유"
"* 惜指失掌(석지실장)*: 손가락을 아끼려다가 손바닥마저 잃는다는 뜻으로, 작을 것을 아끼려다 큰 일을 그르치는 *상황*을 비유하여
이르는 말.
#일 #손가락 #손바닥 #*상황* #비유"
"* 石破天驚(석파천경)*: 돌을 깨뜨려 하늘도 놀란다는 뜻으로, 아주 의표(意表)를 찔러 *형용*할 수 없다는 것에서, '착상이
기발하다'는 의미로 사용됨.
#*형용* #사용 #의미 #기발 #하늘"
"* 石破天驚(석파천경)*: 돌을 깨뜨려 하늘도 놀란다는 뜻으로, 아주 의표(意表)를 찔러 형용할 수 없다는 것에서, '착상이
기발하다'는 의미로 *사용*됨."
"* 錫婚式(석혼식)*: *서양* 풍속에서, 결혼 1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. 부부가 서로 진주와 보석 따위의 선물을 주고받는다.
#결혼 #진주 #보석 #선물 #풍속 #의식 #부부 #기념 #따위"
* 錫婚式(석혼식)*: 서양 *풍속*에서, 결혼 1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. 부부가 서로 진주와 보석 따위의 선물을 주고받는다.
"* 錫婚式(석혼식)*: 서양 풍속에서, 결혼 10주년을 기념하는 *의식*. 부부가 서로 진주와 보석 따위의 선물을 주고받는다.
#결혼 #진주 #보석 #선물 #풍속 #*의식* #부부 #기념 #따위"
* 錫婚式(석혼식)*: 서양 풍속에서, 결혼 1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. *부부*가 서로 진주와 보석 따위의 선물을 주고받는다.
"* 錫婚式(석혼식)*: 서양 풍속에서, 결혼 1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. 부부가 서로 진주와 보석 따위의 *선물*을 주고받는다.
#결혼 #진주 #보석 #*선물* #풍속 #의식 #부부 #기념 #따위"
* 惜花愁夜雨病酒怨春鶯(석화수야우병주원춘앵)*: *꽃*을 아끼니 밤 비를 근심하고, 술에 병드니 봄 꾀꼬리를 원망(怨望)함.
* 惜花愁夜雨病酒怨春鶯(석화수야우병주원춘앵)*: 꽃을 아끼니 *밤* 비를 근심하고, 술에 병드니 봄 꾀꼬리를 원망(怨望)함.
* 惜花愁夜雨病酒怨春鶯(석화수야우병주원춘앵)*: 꽃을 아끼니 밤 비를 *근심*하고, 술에 병드니 봄 꾀꼬리를 원망(怨望)함.
* 惜花愁夜雨病酒怨春鶯(석화수야우병주원춘앵)*: 꽃을 아끼니 밤 비를 근심하고, 술에 병드니 봄 *꾀*꼬리를 원망(怨望)함.
"* 惜花愁夜雨病酒怨春鶯(석화수야우병주원춘앵)*: 꽃을 아끼니 밤 비를 근심하고, 술에 병드니 봄 꾀*꼬리*를 원망(怨望)함.
#밤 #원망 #꽃 #꾀*꼬리* #근심 #술 #봄"
"* 惜花愁夜雨病酒怨春鶯(석화수야우병주원춘앵)*: 꽃을 아끼니 밤 비를 근심하고, 술에 병드니 봄 꾀꼬리를 *원망*(怨望)함.
#밤 #*원망* #꽃 #꾀꼬리 #근심 #술 #봄"
"* 旋乾轉坤(선건전곤)*: (1)천지를 뒤집는다는 뜻으로, *나라*의 난을 평정함을 이르는 말. (2)*나라*의 나쁜 풍습을 크게
고침을 이르는 말."
* 先見之明(선견지명)*: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앞을 내다보고 아는 *지혜*.
* 先考(선고)*: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*아버지*를 이르는 말.
"* 善供無德(선공무덕)*: *부처*에게 공양을 잘하여도 아무 공덕이 없다는 뜻으로, 남을 위하여 힘을 썼으나 그것에 대한 소득이 없음을
이르는 말."
"* 善供無德(선공무덕)*: 부처에게 공양을 잘하여도 아무 공덕이 없다는 뜻으로, 남을 위하여 힘을 썼으나 그것에 *대한* 소득이 없음을
이르는 말."
"* 善巧方便(선교방편)*: 중생의 수준이나 *능력*에 따라 그들을 잘 교화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훌륭한 수단과 방법.
#수준 #선 #*능력* #중생 #공교 #교화 #방법 #성품 #훌륭 #수단 #사람"
"* 善巧方便(선교방편)*: 중생의 수준이나 능력에 따라 그들을 잘 교화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훌륭한 *수단*과 방법.
#수준 #선 #능력 #중생 #공교 #교화 #방법 #성품 #훌륭 #*수단* #사람"
* 善巧方便(선교방편)*: 중생의 수준이나 능력에 따라 그들을 잘 교화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훌륭한 수단과 *방법*.
"* 善巧攝化(선교섭화)*: *부처*나 보살이 여러 가지 훌륭한 방법으로 중생을 교화하는 일.
#방법 #일 #이익 #보살 #*부처* #중생 #훌륭 #교묘 #교화"
"* 善巧攝化(선교섭화)*: 부처나 보살이 여러 가지 훌륭한 *방법*으로 중생을 교화하는 일.
#*방법* #일 #이익 #보살 #부처 #중생 #훌륭 #교묘 #교화"
"* 善騎者墮(선기자타)*: 말을 잘 타는 사람이 말에서 떨어진다는 뜻으로, 한 *가지*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그 재주만 믿고 자만하다가
도리어 재앙을 당한다는 의미."
"* 善騎者墮(선기자타)*: 말을 잘 타는 사람이 말에서 떨어진다는 뜻으로, 한 가지 *재주*가 뛰어난 사람이 그 *재주*만 믿고
자만하다가 도리어 재앙을 당한다는 의미.
#*재주* #말 #재앙 #의미 #자만 #사람"
"* 善騎者墮(선기자타)*: 말을 잘 타는 사람이 말에서 떨어진다는 뜻으로, 한 가지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그 재주만 믿고 자만하다가
*도리*어 재앙을 당한다는 의미.
#재주 #말 #재앙 #의미 #자만 #사람"
"* 善騎者墮(선기자타)*: 말을 잘 타는 사람이 말에서 떨어진다는 뜻으로, 한 가지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그 재주만 믿고 자만하다가
도리어 *재앙*을 당한다는 의미.
#재주 #말 #*재앙* #의미 #자만 #사람"
"* 善騎者墮(선기자타)*: 말을 잘 타는 사람이 말에서 떨어진다는 뜻으로, 한 가지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그 재주만 믿고 자만하다가
도리어 재앙을 당한다는 *의미*."
"* 璇璣懸斡(선기현알)*: 선기(璿璣)는 천기(天紀)를 보는 기구(器具)이고, 그 기구(器具)가 높이 걸려 도는 것을 말함.
#기구 #말"
* 先己後人(선기후인)*: 남의 일보다 *자신*의 일을 먼저 성실히 처리함.
* 先拿後奏(선나후주)*: 죄인을 먼저 잡아 놓고, 나중에 *임금*에게 아뢰던 일. 죄 있는 주임관(奏任官)을 체포하는 절차였다.
"* 先難而後獲(선난이후획)*: 어려운 공적(公的)인 일을 먼저하고, 자신(自身)에게 *이익*(利益)이 되는 사적(私的)인 일은 나중에
함을 이르는 말."
"* 善男善女(선남선녀)*: (1)*성품*이 착한 남자와 여자란 뜻으로, 착하고 어진 사람들을 이르는 말. (2)곱게 단장을 한 남자와
여자를 이르는 말. (3)불법에 귀의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.
#여자 #남녀 #귀의 #불가 #불법 #불교 #불 #사람들 #사용 #의미 #신심 #단장 #*성품* #남자 #귀 #사람"
"* 善男善女(선남선녀)*: (1)성품이 착한 *남*자와 여자란 뜻으로, 착하고 어진 사람들을 이르는 말. (2)곱게 단장을 한 *남*자와
여자를 이르는 말. (3)불법에 귀의한 *남*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."
"* 善男善女(선남선녀)*: (1)성품이 착한 남자와 *여자*란 뜻으로, 착하고 어진 사람들을 이르는 말. (2)곱게 단장을 한 남자와
*여자*를 이르는 말. (3)불법에 귀의한 남자와 *여자*를 이르는 말."
"* 善男善女(선남선녀)*: (1)성품이 착한 남자와 여자란 뜻으로, 착하고 어진 사람들을 이르는 말. (2)곱게 *단장*을 한 남자와
여자를 이르는 말. (3)불법에 귀의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.
#여자 #남녀 #귀의 #불가 #불법 #불교 #불 #사람들 #사용 #의미 #신심 #*단장* #성품 #남자 #귀 #사람"
"* 仙女思凡(선녀사범)*: 선녀가 속계(俗界)를 그리워한다는 뜻.
#속계 #선녀"
* 先堂(선당)*: (1) 남의 *어머니*의 경칭(敬稱). 모당(母堂). 모부인(母夫人) (2) 천자(天子)를 낳은 부인(夫人).
"* 先堂(선당)*: (1) 남의 어머니의 경칭(敬稱). 모당(母堂). 모부인(母夫人) (2) *천자*(天子)를 낳은 부인(夫人).
#어머니 #*천자* #부인"
* 先大夫人(선대부인)*: *돌*아가신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.
"* 先大夫人(선대부인)*: 돌아가신 남의 *어머니*를 높여 이르는 말.
#*어머니* #말"
* 先禮後學(선례후학)*: 먼저 예의를 배우고 나중에 *학*문을 배우라는 뜻으로, 예의가 우선임을 이르는 말.
* 先禮後學(선례후학)*: 먼저 예의를 배우고 나중에 *학문*을 배우라는 뜻으로, 예의가 우선임을 이르는 말.
"* 仙露明珠(선로명주)*: 선인(仙人)이 내려 주는 *이슬*과 아름다운 구슬이라는 뜻으로, 글씨 쓰는 법이 원활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
말.
#*이슬* #구슬 #글씨 #법 #선 #비유 #선인"
"* 仙露明珠(선로명주)*: 선인(仙人)이 내려 주는 이슬과 아름다운 *구슬*이라는 뜻으로, 글씨 쓰는 법이 원활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
말.
#이슬 #*구슬* #글씨 #법 #선 #비유 #선인"
"* 善隣外交(선린외교)*: 이웃 *나라*와의 친선(親善)을 꾀하여 취(取)하는 외교(外交) 정책.
#외교 #꾀 #*나라* #정책 #이웃"
"* 善隣外交(선린외교)*: 이웃 나라와의 친선(親善)을 *꾀*하여 취(取)하는 외교(外交) 정책.
#외교 #*꾀* #나라 #정책 #이웃"
* 善隣外交(선린외교)*: 이웃 나라와의 친선(親善)을 꾀하여 취(取)하는 외교(外交) 정*책*.
"* 善隣友好(선린우호)*: 이웃 나라 또는 이웃과 *사이*좋게 지내며 잘 사귄다는 뜻으로, 외교(外交) 상(上) 이웃 나라와
우호(友好) 관계(關係)를 맺는 일."
"* 善隣友好(선린우호)*: 이웃 나라 또는 이웃과 사이좋게 지내며 잘 사귄다는 뜻으로, 외교(外交) 상(上) 이웃 나라와 우호(友好)
*관계*(關係)를 맺는 일.
#일 #외교 #*관계* #나라 #이웃"
* 先發制人(선발제인)*: 남의 *꾀*를 사전에 알아차리고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막아 냄.
* 先伯父(선백부)*: 돌아가신 큰*아버지*.
"* 先病服藥(선병복약)*: 병이 걸리기 전에 미리 약을 *복*용한다는 뜻으로, 병을 미연에 막음을 의미하는 말.
#의미 #병 #약"
* 先病服藥(선병복약)*: 병이 걸리기 전에 미리 약을 복용한다는 뜻으로, 병을 미연에 막음을 *의미*하는 말.
"* 先病者醫(선병자의)*: 먼저 병을 앓아 본 사람이 의원이라는 뜻으로, 먼저 경험을 해 본 사람은 비슷한 *상황*에 처한 사람을
도와줄 수 있음을 이르는 말.
#말 #병 #의사 #사용 #의미 #*상황* #의원 #경험 #비슷 #사람"
* 先父(선부)*: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*아버지*를 이르는 말.
* 先夫人(선부인)*: 남의 돌아가신 *어머니*를 일컫는 말.
* 先富後貧(선부후빈)*: 처음에는 잘살던 사람이 나중에는 *가난*해짐.
"* 先妣(선비)*: 남에게 *돌*아가신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.
#어머니 #세상"
"* 先妣(선비)*: 남에게 돌아가신 *자기* 어머니를 이르는 말.
#어머니 #세상"
"* 先妣(선비)*: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*어머니*를 이르는 말.
#*어머니* #세상"
"* 先妣(선비)*: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.
#어머니 #세상"
"* 先貧後富(선빈후부)*: 처음에는 *가난*하던 사람이 나중에는 부자가 됨.
#살림 #나중 #부자 #*가난* #처음 #사람"
* 先貧後富(선빈후부)*: 처음에는 가난하던 *사람*이 나중에는 부자가 됨.
"* 善事上官(선사상관)*: *상관*을 잘 섬김.
#*상관*"
"* 先賞後罰(선상후벌)*: 상을 먼저하고 벌을 나중한다는 뜻으로, 벌주는 일보다 상을 내리는 일을 먼저 하는 위무(慰撫)하는 *태도*를
유지한다는 의미.
#일 #유지 #나중 #의미 #*태도*"
"* 先賞後罰(선상후벌)*: 상을 먼저하고 벌을 나중한다는 뜻으로, 벌주는 일보다 상을 내리는 일을 먼저 하는 위무(慰撫)하는 태도를
*유지*한다는 의미.
#일 #*유지* #나중 #의미 #태도"
"* 仙聖先師(선성선사)*: *공자*(孔子)와 안회(顔回).
#*공자* #孔子"
* 先聲奪人(선성탈인)*: (1)먼저 소문을 퍼뜨려 남의 *기세*를 꺾음. (2)먼저 소리를 질러 남의 *기세*를 꺾음.
* 先叔父(선숙부)*: *돌*아가신 작은아버지.
* 先叔父(선숙부)*: 돌아가신 작은*아버지*.
"* 先失其道(선실기도)*: 어떤 일을 할 때 먼저 그 *방법*을 그르침.
#*방법* #일 #때 #그릇"
* 先失其道(선실기도)*: 어떤 일을 할 때 먼저 그 방*법*을 그르침.
"* 善惡不二(선악불이)*: 선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*별*한 하나의 이치로
돌아간다는 말."
"* 善惡不二(선악불이)*: 선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별한 *하나*의 이치로
돌아간다는 말.
#말 #선 #평등 #이치 #무차별 #차별 #악 #인연 #선악"
"* 善惡不二(선악불이)*: 선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별한 하나의 *이치*로
돌아간다는 말.
#말 #선 #평등 #*이치* #무차별 #차별 #악 #인연 #선악"
"* 善惡不二(선악불이)*: 선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별한 하나의 이치로 *돌*아간다는
말."
"* 善惡不二(선악불이)*: 선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별한 하나의 이치로 돌아간다는
말."
"* 善惡相半(선악상반)*: 선과 악이 *서로* 반씩 섞여 있음.
#악 #선"
"* 善惡之報(선악지보)*: 선악에 *대한* 응보(應報).
#악 #선 #선악"
"* 禪讓放伐(선양방벌)*: 덕을 잃고 악정을 행하는 *임금*은 내쳐도 거리낄 바 없다는 중국의 역성혁명관.
#일 #고대 #혁명 #제왕 #행 #*임금* #중국 #자리 #내어"
"* 禪讓放伐(선양방벌)*: 덕을 잃고 악정을 행하는 임금은 내쳐도 거리낄 바 없다는 *중국*의 역성혁명관.
#일 #고대 #혁명 #제왕 #행 #임금 #*중국* #자리 #내어"
"* 禪讓放伐(선양방벌)*: 덕을 잃고 악정을 행하는 임금은 내쳐도 거리낄 바 없다는 중국의 역성혁명관.
#일 #고대 #혁명 #제왕 #행 #임금 #중국 #자리 #내어"
"* 善與人交(선여인교)*: 남을 *공경*하여 오래 잘 사귐.
#*공경* #사귐"
"* 善與人交(선여인교)*: 남을 공경하여 오래 잘 사귐.
#공경 #사귐"
"* 禪悅爲食(선열위식)*: 선정(禪定)의 기쁨으로 몸과 마음을 건전하게 하고 *지혜*로운 생명을 얻는 일. 음식으로 몸을 기르고 목숨을
보존하는 일에 비유한 말이다."
"* 禪悅爲食(선열위식)*: 선정(禪定)의 기쁨으로 몸과 마음을 건전하게 하고 지혜로운 생명을 얻는 일. 음식으로 몸을 기르고 *목숨*을
보존하는 일에 비유한 말이다."
"* 先憂後樂(선우후락)*: 세상의 *근심*할 일은 남보다 먼저 *근심*하고 즐거워할 일은 남보다 나중에 즐거워한다는 뜻으로,
지사(志士)나 어진 사람의 마음씨를 이르는 말. ≪범중엄(范仲淹)≫ 에 나오는 말이다.
#일 #마음 #말 #사람 #인자 #사랑 #마음씨 #나중 #*근심* #자신 #훌륭 #세상"
"* 先憂後樂(선우후락)*: 세상의 근심할 일은 남보다 먼저 근심하고 즐거워할 일은 남보다 나중에 즐거워한다는 뜻으로, 지사(志士)나
어진 사람의 마음씨를 이르는 말. ≪*범*중엄(范仲淹)≫ 에 나오는 말이다."
"* 善游者溺(선유자익)*: 헤엄을 잘 치는 사람이 빠진다는 뜻으로, *재주* 많은 사람이 그 *재주*를 믿고 까불다가 화를 입는다는
의미."
* 鮮車怒馬(선거노마)*: 좋은 *수레*와 힘센 말을 아울러 이르는 말.
"* 善敗由己(선패유기)*: *성공*과 실패는 자기로부터 말미암는다는 뜻으로, 일의 성패는 자기 자신의 행동 여하에 달려있다는 의미.
#일 #성패 #실패 #의미 #여하 #자신 #행동 #*성공*"
* 善敗由己(선패유기)*: 성공과 *실패*는 자기로부터 말미암는다는 뜻으로, 일의 성패는 자기 자신의 행동 여하에 달려있다는 의미.
* 善敗由己(선패유기)*: 성공과 실패는 자기로부터 말미암는다는 뜻으로, 일의 성패는 자기 *자신*의 행동 여하에 달려있다는 의미.
* 善敗由己(선패유기)*: 성공과 실패는 자기로부터 말미암는다는 뜻으로, 일의 성패는 자기 자신의 *행동* 여하에 달려있다는 의미.
"* 善行無鐵迹(선행무철적)*: 길을 잘 가는 사람은 *수레* 자국이나 발자국을 남기지 않는다는 뜻으로, 참된 선행은 남의 눈에 잘 띄지
않는다는 의미.
#발자국 #눈 #자국 #길 #의미 #*수레* #선행 #사람"
"* 善行無鐵迹(선행무철적)*: 길을 잘 가는 사람은 수레 *자국*이나 발*자국*을 남기지 않는다는 뜻으로, 참된 선행은 남의 눈에 잘
띄지 않는다는 의미.
#발*자국* #눈 #*자국* #길 #의미 #수레 #선행 #사람"
* 先花後果(선화후과)*: 먼저 *꽃*이 피고 나중에 열매가 맺힌다는 뜻으로, 먼저 딸을 낳고 나중에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.
"* 先花後果(선화후과)*: 먼저 꽃이 피고 나중에 열매가 맺힌다는 뜻으로, 먼저 *딸*을 낳고 나중에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.
#나중 #*딸* #아들 #비유 #꽃 #열매"
"* 先花後果(선화후과)*: 먼저 꽃이 피고 나중에 열매가 맺힌다는 뜻으로, 먼저 딸을 낳고 나중에 *아들*을 낳음을 이르는 말.
#나중 #딸 #*아들* #비유 #꽃 #열매"
"* 舌乾脣焦(설건순초)*: 혀가 마르고 *입술*이 탄다는 뜻으로, 혀와 *입술*이 타고 마를 정도로 말을 빨리 한다는 의미에서, 매우
초조해 안절부절못함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.
#말 #초조 #*입술* #사용 #의미 #혀 #정도"
"* 舌乾脣焦(설건순초)*: 혀가 마르고 입술이 탄다는 뜻으로, 혀와 입술이 타고 마를 *정도*로 말을 빨리 한다는 의미에서, 매우
초조해 안절부절못함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."
"* 舌乾脣焦(설건순초)*: 혀가 마르고 입술이 탄다는 뜻으로, 혀와 입술이 타고 마를 정도로 말을 빨리 한다는 의미에서, 매우 초조해
안절부절못함을 이르는 말로 *사용*됨."
"* 舌根未乾(설근미건)*: 혀*뿌리*의 침이 아직 마르지 않았다는 뜻으로, 금시 한 말을 번복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말.
#말 #경우 #사용 #혀 #침 #*뿌리*"
"* 舌根未乾(설근미건)*: 혀뿌리의 침이 아직 마르지 않았다는 뜻으로, 금시 한 말을 번복하는 *경우*에 사용하는 말.
#말 #*경우* #사용 #혀 #침 #뿌리"
* 舌根未乾(설근미건)*: 혀뿌리의 침이 아직 마르지 않았다는 뜻으로, 금시 한 말을 번복하는 경우에 *사용*하는 말.
"* 雪泥鴻爪(설니홍조)*: 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*자국*이 눈이 녹으면 없어진다는 뜻으로, 인생의 자취가 눈 녹듯이 사라져 무상함을
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발*자국* #자취 #시간 #눈 #비유 #무상 #흙 #인생"
"* 雪泥鴻爪(설니홍조)*: 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이 눈이 녹으면 없어진다는 뜻으로, *인생*의 자취가 눈 녹듯이 사라져 무상함을
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발자국 #자취 #시간 #눈 #비유 #무상 #흙 #*인생*"
"* 雪泥鴻爪(설니홍조)*: 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이 눈이 녹으면 없어진다는 뜻으로, 인생의 자취가 눈 녹듯이 *사라*져 무상함을
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발자국 #자취 #시간 #눈 #비유 #무상 #흙 #인생"
"* 雪泥鴻爪(설니홍조)*: 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이 눈이 녹으면 없어진다는 뜻으로, 인생의 자취가 눈 녹듯이 사라져 *무상*함을
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"
"* 舌芒于劍(설망우검)*: {세 치의}혀는 칼보다 날카롭다는 뜻으로, 논봉(論鋒)의 *기세*가 예리하고 날카로움을 비유하는 말.
#*기세* #예리 #칼 #비유 #혀"
* 雪膚花容(설부화용)*: 눈처럼 흰 살갗과 *꽃*처럼 고운 얼굴이라는 뜻으로, 미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.
* 雪膚花容(설부화용)*: 눈처럼 흰 살갗과 꽃처럼 고운 *얼굴*이라는 뜻으로, 미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.
* 雪膚花容(설부화용)*: 눈처럼 흰 살갗과 꽃처럼 고운 얼굴이라는 뜻으로, *미인*의 용모를 이르는 말.
* 雪膚花容(설부화용)*: 눈처럼 흰 살갗과 꽃처럼 고운 얼굴이라는 뜻으로, 미인의 *용*모를 이르는 말.
"* 雪膚花容(설부화용)*: 눈처럼 흰 살갗과 꽃처럼 고운 얼굴이라는 뜻으로, 미인의 *용모*를 이르는 말.
#*용모* #형용 #미인 #눈 #여인 #꽃 #살갗 #모습 #살결 #얼굴"
"* 雪憤伸寃(설분신원)*: 분함을 씻고 *원한*을 푼다는 뜻으로, 마음에 맺힌 *원한*을 풀고 수치스러운 일을 씻어버린다는 의미.
#일 #마음 #*원한* #수치 #의미"
* 雪憤伸寃(설분신원)*: 분함을 씻고 원한을 푼다는 뜻으로, 마음에 맺힌 원한을 *풀*고 수치스러운 일을 씻어버린다는 의미.
"* 說三道四(설삼도사)*: 삼을 말했다가 사를 말한다는 뜻으로, 입에 나오는 대로 무엇이든지 제멋대로 지껄인다는 의미.
#의미 #말 #무엇 #입"
* 說往說來(설왕설래)*: 서로 변론을 주고받으며 옥신각신함. 또는 말이 오고 감.
* 說長道短(설장도단)*: 장점을 말하고 단점을 말한다는 뜻으로, 이러니저러니 비평함으로 *사용*되는데, 본래의 원말은 다음과 같다.
"* 說長道短(설장도단)*: 장점을 말하고 단점을 말한다는 뜻으로, 이러니저러니 비평함으로 사용되는데, *본래*의 원말은 다음과 같다.
#말 #사용 #비평 #단점 #다음 #장점 #*본래*"
"* 舌底有斧(설저유부)*: 혀 *아래*에 도끼가 들었다는 뜻으로, 말을 잘못하면 화를 불러일으키니 말을 늘 삼가라는 말.
#말 #*아래* #화 #재앙 #잘못 #의미 #혀 #조심 #도끼"
"* 舌底有斧(설저유부)*: 혀 아래에 *도끼*가 들었다는 뜻으로, 말을 잘못하면 화를 불러일으키니 말을 늘 삼가라는 말.
#말 #아래 #화 #재앙 #잘못 #의미 #혀 #조심 #*도끼*"
"* 雪中君子(설중군자)*: 눈 속의 *군자*라는 뜻으로, 사*군자*(四君子)의 하나인 매화의 딴 이름임.
#눈 #매화 #이름 #*군자*"
"* 雪中君子(설중군자)*: 눈 속의 군자라는 뜻으로, 사군자(四君子)의 *하나*인 매화의 딴 이름임.
#눈 #매화 #이름 #군자"
"* 雪中君子(설중군자)*: 눈 속의 군자라는 뜻으로, 사군자(四君子)의 하나인 *매화*의 딴 이름임.
#눈 #*매화* #이름 #군자"
* 雪中四友(설중사우)*: 겨울에도 즐길 수 있는 네 *가지* 꽃. 옥매(玉梅), 납매(臘梅), 동백꽃, 수선(水仙)을 이른다.
"* 雪中四友(설중사우)*: 겨울에도 즐길 수 있는 네 가지 *꽃*. 옥매(玉梅), 납매(臘梅), 동백*꽃*, 수선(水仙)을 이른다.
#눈 #벗 #*꽃* #겨울 #옥매"
"* 雪中松柏(설중송백)*: 눈 속의 *소나무*와 잣나무라는 뜻으로, 높고 굳은 절개를 이르는 말.
#절개 #빛 #눈 #비유 #의미 #절조 #잣나무 #*소나무*"
"* 雪中松柏(설중송백)*: 눈 속의 소*나무*와 잣*나무*라는 뜻으로, 높고 굳은 절개를 이르는 말.
#절개 #빛 #눈 #비유 #의미 #절조 #잣*나무* #소*나무*"
"* 雪中松柏(설중송백)*: 눈 속의 소나무와 잣나무라는 뜻으로, 높고 굳은 절개를 이르는 말.
#절개 #빛 #눈 #비유 #의미 #절조 #잣나무 #소나무"
* 纖纖玉手(섬섬옥수)*: 가냘프고 고운 *여자*의 손을 이르는 말.
"* 燮理陰陽(섭리음양)*: 음양을 화합해 다스린다는 뜻으로, *천하*의 도(道)를 조화시킨다는 의미에서 재상(宰相)이 *천하*를
다스림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거나 재상의 직분(職分)을 의미하기도 함."
"* 燮理陰陽(섭리음양)*: 음양을 화합해 다스린다는 뜻으로, 천하의 도(道)를 조화시킨다는 의미에서 *재상*(宰相)이 천하를 다스림을
비유하는 말로 쓰이거나 *재상*의 직분(職分)을 의미하기도 함.
#조화 #말 #*재상* #직분 #비유 #천하 #의미 #화합 #다스림 #음양"
* 聖供無德(성공무덕)*: *부처*에게 공양하였으나 아무런 공덕도 없다는 뜻으로, 남을 위하여 힘썼지만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.
"* 聖供無德(성공무덕)*: 부처에게 공양하였으나 아무런 공덕도 없다는 뜻으로, 남을 위하여 힘썼지만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.
#공덕 #노력 #성인 #때 #의미 #소용 #부처 #공양"
"* 聲東擊西(성동격서)*: *동쪽*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에서 적을 친다는 뜻으로, 적을 유인하여 이쪽을 공격하는 체하다가 그 반대쪽을
치는 전술을 이르는 말."
"* 聲東擊西(성동격서)*: 동쪽에서 *소리*를 내고 서쪽에서 적을 친다는 뜻으로, 적을 유인하여 이쪽을 공격하는 체하다가 그 반대쪽을
치는 전술을 이르는 말."
"* 聲東擊西(성동격서)*: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*서쪽*에서 적을 친다는 뜻으로, 적을 유인하여 이쪽을 공격하는 체하다가 그 반대쪽을
치는 전술을 이르는 말."
* 星羅雲布(성라운포)*: 별 같이 벌여있고 *구름*처럼 늘어놓았다는쭬뜻으로, 물건이 여기저기 벌여 있는 모양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* 星羅雲布(성라운포)*: 별 같이 벌여있고 구름처럼 늘어놓았다는쭬뜻으로, *물건*이 여기저기 벌여 있는 모양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* 星羅雲布(성라운포)*: 별 같이 벌여있고 구름처럼 늘어놓았다는쭬뜻으로, 물건이 *여기*저기 벌여 있는 모양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* 星羅雲布(성라운포)*: 별 같이 벌여있고 구름처럼 늘어놓았다는쭬뜻으로, 물건이 여기저기 벌여 있는 *모양*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"* 省禮(생례)*: 예절을 생략하고 씀. 예전에 상중(喪中)에 있는 사람에게 편지를 보낼 때, *첫머리*에 썼던 말이다.
#말 #사람 #상제 #예전 #때 #예절 #*첫머리* #생략 #중복 #상중"
* 省禮(생례)*: 예절을 생략하고 씀. 예전에 상중(喪中)에 있는 사람에게 편지를 보낼 때, 첫*머리*에 썼던 말이다.
"* 聲聞過情(성문과정)*: 명성이 실정을 앞선다는 뜻으로, 그 사람의 가치 이상으로 평판이 높음을 이르는 말로 *사용*됨.
#평판 #명성 #*사용* #가치 #이상 #실정 #사람"
"* 聲聞過情(성문과정)*: 명성이 실정을 앞선다는 뜻으로, 그 사람의 가치 이상으로 평판이 높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.
#평판 #명성 #사용 #가치 #이상 #실정 #사람"
"* 盛衰興廢(성쇠흥폐)*: 성하고 쇠하며, 흥하고 폐한다는 뜻으로, 융*성과* 쇠퇴, 흥왕(興旺)과 퇴폐하는 일을 의미함.
#일 #성 #왕 #의미 #쇠 #쇠퇴 #융성 #퇴폐"
* 盛衰興廢(성쇠흥폐)*: 성하고 쇠하며, 흥하고 폐한다는 뜻으로, 융성과 쇠퇴, 흥*왕*(興旺)과 퇴폐하는 일을 의미함.
"* 盛水不漏(성수불루)*: *가득* 찬 물이 조금도 새지 않는다는 뜻으로, 사물이 빈틈없이 꽉 짜였거나 매우 정밀함을 이르는 말.
#사물 #빈틈 #새 #정밀 #물 #조금"
* 盛水不漏(성수불루)*: 가득 찬 물이 조금도 *새*지 않는다는 뜻으로, 사물이 빈틈없이 꽉 짜였거나 매우 정밀함을 이르는 말.
"* 盛水不漏(성수불루)*: 가득 찬 물이 조금도 새지 않는다는 뜻으로, *사물*이 빈틈없이 꽉 짜였거나 매우 정밀함을 이르는 말.
#*사물* #빈틈 #새 #정밀 #물 #조금"
"* 性猶湍水(성유단수)*: *성품*은 여울물 같다는 뜻으로, 세차게 흐르는 여울의 물이 동서 어느 쪽으로도 흐를 수 있듯이, 사람의
본성은 차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이르는 말.
#성 #물 #동서 #본성 #*성품* #쪽 #사람"
"* 性猶湍水(성유단수)*: 성품은 여울물 같다는 뜻으로, 세차게 흐르는 여울의 물이 *동서* 어느 쪽으로도 흐를 수 있듯이, 사람의
본성은 차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이르는 말.
#성 #물 #*동서* #본성 #성품 #쪽 #사람"
* 聲音笑貌(성음소모)*: 목*소리*와 웃는 모양이라는 뜻으로, 겉으로 치장하고 겉만 꾸미는 일의 의미.
* 聲音笑貌(성음소모)*: 목소리와 웃는 *모양*이라는 뜻으로, 겉으로 치장하고 겉만 꾸미는 일의 의미.
"* 成人之美(성인지미)*: 남의 훌륭한 점을 도와 더욱 *완전*하게 함.
#*완전* #의미 #점 #훌륭 #아름다움"
"* 聲振林木(성진임목)*: 목*소리*가 숲의 나무를 떨게 한다는 뜻으로, 노랫*소리*의 격렬함을 비유하는 말.
#나무 #목*소리* #노랫*소리* #비유"
"* 聲振林木(성진임목)*: 목소리가 *숲*의 나무를 떨게 한다는 뜻으로, 노랫소리의 격렬함을 비유하는 말.
#나무 #목소리 #노랫소리 #비유"
"* 聲振林木(성진임목)*: 목소리가 숲의 *나무*를 떨게 한다는 뜻으로, 노랫소리의 격렬함을 비유하는 말.
#*나무* #목소리 #노랫소리 #비유"
* 聲振林木(성진임목)*: 목소리가 숲의 나무를 떨게 한다는 뜻으로, 노랫소리의 격렬함을 *비유*하는 말.
"* 城下之盟(성하지맹)*: 성 밑까지 쳐들어온 적군과 맺는 맹약이라는 뜻으로, 항복한 나라가 적국과 맺는 굴욕적인 맹약을 이르는 말. ≪
*춘추*좌씨전≫에 나오는 말이다.
#맹약 #항복 #말 #성 #아래 #*춘추* #적국 #강화 #나라 #성벽 #의미 #적군 #치욕 #공격"
* 星行夜歸(성행야귀)*: 별 보고 가서 *밤*에 돌아온다는 뜻으로, 아침 일찍 집을 나가서 *밤*늦게 돌아옴을 의미함.
* 星行夜歸(성행야귀)*: 별 보고 가서 밤에 돌아온다는 뜻으로, *아침* 일찍 집을 나가서 밤늦게 돌아옴을 의미함.
"* 城狐社鼠(성호사서)*: 성안에 사는 *여우*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,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
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.
#몸 #이름 #성 #곁 #*여우* #관청 #임금 #비유 #간신 #쥐 #사당 #안전 #세력 #무리 #과거 #사람"
"* 城狐社鼠(성호사서)*: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, *임금*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
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."
"* 城狐社鼠(성호사서)*: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,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*무리*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
사는 *무리*를 이르는 말."
"* 城狐社鼠(성호사서)*: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,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*세력*에 기대어
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.
#몸 #이름 #성 #곁 #여우 #관청 #임금 #비유 #간신 #쥐 #사당 #안전 #*세력* #무리 #과거 #사람"
"* 城狐社鼠(성호사서)*: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,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
무리를 이르는 말.
#몸 #이름 #성 #곁 #여우 #관청 #임금 #비유 #간신 #쥐 #사당 #안전 #세력 #무리 #과거 #사람"
* 世降俗末(세강속말)*: *세상*이 그릇되어 풍속이 어지러움.
"* 世降俗末(세강속말)*: 세상이 *그릇*되어 풍속이 어지러움.
#속세 #풍속 #의미 #*그릇* #세상"
"* 世降俗末(세강속말)*: 세상이 그릇되어 *풍속*이 어지러움.
#속세 #*풍속* #의미 #그릇 #세상"
"* 世降俗末(세강속말)*: 세상이 그릇되어 풍속이 어지러움.
#속세 #풍속 #의미 #그릇 #세상"
* 勢窮力盡(세궁역진)*: *기세*가 꺾이고 힘이 다 빠져 꼼짝할 수 없게 됨.
"* 世短意多(세단의다)*: *인생*은 짧은데 뜻은 많다는 뜻으로, *인생*은 짧은데 근심 걱정은 몹시 많다는 의미.
#의미 #*인생* #걱정 #근심"
* 世短意多(세단의다)*: 인생은 짧은데 뜻은 많다는 뜻으로, 인생은 짧은데 *근심* 걱정은 몹시 많다는 의미.
"* 洗踏足白(세답족백)*: (1)상전의 빨래를 하여 주느라 종의 발*꿈*치가 희게 된다는 뜻으로, 남을 위하여 한 일이 자신에게도
얼마간의 이득이 됨을 이르는 말. (2)남을 위하여 일을 하고도 아무런 보수도 얻지 못함을 이르는 말."
"* 洗踏足白(세답족백)*: (1)상전의 빨래를 하여 주느라 종의 발꿈치가 희게 된다는 뜻으로, 남을 위하여 한 일이 *자신*에게도
얼마간의 이득이 됨을 이르는 말. (2)남을 위하여 일을 하고도 아무런 보수도 얻지 못함을 이르는 말."
"* 洗踏足白(세답족백)*: (1)상전의 빨래를 하여 주느라 종의 발꿈치가 희게 된다는 뜻으로, 남을 위하여 한 일이 자신에게도 얼마간의
*이득*이 됨을 이르는 말. (2)남을 위하여 일을 하고도 아무런 보수도 얻지 못함을 이르는 말.
#상전 #일 #*이득* #발꿈치 #빨래 #의미 #소득 #보수 #자신"
"* 勢利之交(세리지교)*: *권세*와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맺는 교제.
#교제 #이익 #*권세* #소원 #관계 #의미 #목적"
* 勢利之交(세리지교)*: 권세와 *이익*을 얻을 목적으로 맺는 교제.
"* 勢利之交(세리지교)*: 권세와 이익을 얻을 *목적*으로 맺는 교제.
#교제 #이익 #권세 #소원 #관계 #의미 #*목적*"
"* 勢不兩立(세불양립)*: 서로 엇비슷한 힘을 지닌 두 *세력*이 함께 존재할 수 없음. 즉 한 *세력*권 안에서 권력을 나눌 수
없거나 우두머리가 둘일 수 없다는 말이다.
#일 #존재 #권력 #말 #자웅 #엇비슷 #우두머리 #*세력* #힘 #비슷 #사이"
* 歲不我與(세불아여)*: 세월은 나와 더*불*지 않는다는 뜻으로, 세월이 덧없이 지나가 나를 기다리지 않는다는 의미.
* 歲不我與(세불아여)*: 세월은 나와 더불지 않는다는 뜻으로, 세월이 덧없이 지나가 나를 기다리지 않는다는 *의미*.
"* 洗手奉職(세수봉직)*: 손을 씻고 공직에 봉사한다는 뜻으로, 공사(公事)에 *청렴*결백(淸廉潔白)함을 이르는 말.
#公事 #*청렴*결백 #결백 #*청렴*"
"* 洗手奉職(세수봉직)*: 손을 씻고 공직에 봉사한다는 뜻으로, 공사(公事)에 청렴*결백*(淸廉潔白)함을 이르는 말.
#公事 #청렴*결백* #*결백* #청렴"
"* 勢如破竹(세여파죽)*: *기세*가 매우 대단하여 감히 대항할 만한 적이 없음.
#대단 #맹렬 #대항 #*기세* #상황 #비유 #대나무 #형세"
"* 歲寒三友(세한삼우)*: 추운 겨울철의 세 *벗*이라는 뜻으로, 추위에 잘 견디는 소나무ㆍ대나무ㆍ매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. 흔히
한 폭의 그림에 그려서 ‘송죽매’라고 한다."
"* 歲寒三友(세한삼우)*: 추운 겨울철의 세 벗이라는 뜻으로, *추위*에 잘 견디는 소나무ㆍ대나무ㆍ매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. 흔히
한 폭의 그림에 그려서 ‘송죽매’라고 한다.
#*추위* #나무 #벗 #그림 #의미 #산수 #겨울철 #소나무 #매화 #대나무 #세상"
"* 歲寒三友(세한삼우)*: 추운 겨울철의 세 벗이라는 뜻으로, 추위에 잘 견디는 *소나무*ㆍ대나무ㆍ매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. 흔히
한 폭의 그림에 그려서 ‘송죽매’라고 한다.
#추위 #나무 #벗 #그림 #의미 #산수 #겨울철 #*소나무* #매화 #대나무 #세상"
"* 歲寒三友(세한삼우)*: 추운 겨울철의 세 벗이라는 뜻으로, 추위에 잘 견디는 소나무ㆍ*대나무*ㆍ매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. 흔히
한 폭의 그림에 그려서 ‘송죽매’라고 한다.
#추위 #나무 #벗 #그림 #의미 #산수 #겨울철 #소나무 #매화 #*대나무* #세상"
"* 歲寒三友(세한삼우)*: 추운 겨울철의 세 벗이라는 뜻으로, 추위에 잘 견디는 소나무ㆍ대나무ㆍ*매화*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. 흔히
한 폭의 그림에 그려서 ‘송죽매’라고 한다.
#추위 #나무 #벗 #그림 #의미 #산수 #겨울철 #소나무 #*매화* #대나무 #세상"
"* 歲寒松柏(세한송백)*: 추운 겨울의 *소나무*와 잣나무라는 뜻으로, 어떤 역경 속에서도 지조를 굽히지 않는 사람 또는 그 지조를
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역경 #푸름 #계절 #곤궁 #겨울 #비유 #군자 #백 #잣나무 #*소나무* #지조 #환난 #사람"
"* 歲寒松柏(세한송백)*: 추운 겨울의 소*나무*와 잣*나무*라는 뜻으로, 어떤 역경 속에서도 지조를 굽히지 않는 사람 또는 그 지조를
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"
"* 小隙沈舟(소극침주)*: 조그만 틈으로 물이 *새*어 들어 배가 가라앉는다는 뜻으로, 작은 일을 게을리하면 큰 재앙이 닥치게 됨을
이르는 말."
"* 小隙沈舟(소극침주)*: 조그만 틈으로 물이 새어 들어 배가 가라앉는다는 뜻으로, 작은 일을 게을리하면 큰 *재앙*이 닥치게 됨을
이르는 말.
#일 #새 #배 #*재앙* #물 #비유 #의미"
"* 笑裏藏刀(소리장도)*: 웃는 마음속에 칼이 있다는 뜻으로, 겉으로는 웃고 있으나 마음속에는 해칠 마음을 품고 있음을 이르는 말.
#마음속 #마음 #칼 #비유 #내심 #겉 #웃음"
* 巢林一枝(소림일지)*: 규모가 작은 집.
"* 燒眉之急(소미지급)*: *눈썹*에 불이 붙었다는 뜻으로, 매우 급함을 이르는 말.
#경우 #*눈썹* #불 #의미 #불길 #정도"
* 宵壤之判(소양지판)*: 하늘과 *땅*의 떨어짐이라는 뜻으로, 하늘과 *땅*처럼 두 사물의 차이가 엄청나게 다르다는 말.
* 宵壤之判(소양지판)*: 하늘과 땅의 떨어짐이라는 뜻으로, 하늘과 땅처럼 두 *사물*의 차이가 엄청나게 다르다는 말.
"* 騷人墨客(소인묵객)*: *시문*(詩文)과 서화(書畫)를 일삼는 사람.
#객 #풍아 #의미 #시인 #풍 #그림 #*시문* #사람"
"* 騷人墨客(소인묵객)*: 시문(詩文)과 서화(書畫)를 일삼는 사람.
#객 #풍아 #의미 #시인 #풍 #그림 #시문 #사람"
"* 笑啼兩難(소제양난)*: 웃거나 울기가 둘 다 어렵다는 뜻으로,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모를 *정도*로 기쁜 일과 슬픈 일이 함께
닥치는 상황을 이르는 말.
#일 #*정도* #상황"
"* 笑啼兩難(소제양난)*: 웃거나 울기가 둘 다 어렵다는 뜻으로,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모를 정도로 기쁜 일과 슬픈 일이 함께
닥치는 *상황*을 이르는 말.
#일 #정도 #*상황*"
"* 掃地黃金出(소지황금출)*: *땅*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,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인데, 주로
입춘첩(立春帖)으로 사용하는 글귀."
"* 掃地黃金出(소지황금출)*: 땅을 쓸면 황*금*이 나온다는 뜻으로,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인데, 주로
입춘첩(立春帖)으로 사용하는 글귀."
"* 掃地黃金出(소지황금출)*: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, 청결한 덕있는 *행동*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인데, 주로
입춘첩(立春帖)으로 사용하는 글귀."
"* 掃地黃金出(소지황금출)*: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,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*미인*데, 주로
입춘첩(立春帖)으로 사용하는 글귀."
"* 掃地黃金出(소지황금출)*: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,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인데, 주로
입춘첩(立春帖)으로 *사용*하는 글귀."
* 嘯風弄月(소풍농월)*: 바람에 휘파람 불고 달을 희롱한다는 뜻으로, *자연* 풍경을 구경하며 즐김을 이르는 말.
"* 消魂斷腸(소혼단장)*: *근심*과 슬픔으로 넋이 빠지고 창자가 끊어지는 듯함.
#창자 #비유 #*근심* #슬픔 #괴로움 #넋"
"* 消魂斷腸(소혼단장)*: 근심과 슬픔으로 넋이 빠지고 창자가 끊어지는 듯함.
#창자 #비유 #근심 #슬픔 #괴로움 #넋"
"* 速去千里(속거천리)*: (1)어서 멀리 가라는 뜻으로, 귀신을 쫓을 때 쓰는 말. (2)*노래*기를 없앤다고 하여 서까래에 써
붙이는 글의 끝마디.
#서까래 #*노래* #집 #때 #이것 #끝 #의미 #마디 #귀신"
"* 續短斷長(속단단장)*: 짧은 것을 잇고 긴 것을 자른다는 뜻으로, 짧고 긴 것을 잇고 자르는 것처럼 적절하게 맞추는 *상황*을
비유하는 말.
#적절 #*상황* #비유"
"* 續短斷長(속단단장)*: 짧은 것을 잇고 긴 것을 자른다는 뜻으로, 짧고 긴 것을 잇고 자르는 것처럼 적절하게 맞추는 상황을 *비유*하는
말."
"* 續短斷長(속단단장)*: 짧은 것을 잇고 긴 것을 자른다는 뜻으로, 짧고 긴 것을 잇고 자르는 것처럼 적절하게 맞추는 상황을 비유하는
말.
#적절 #상황 #비유"
* 速登者易顚(속등자이전)*: 빨리 오르는 자는 넘어지기 쉽다는 뜻으로, 출세가 빠른 사람은 *도리*어 재난이 많음을 비유하는 말.
"* 速登者易顚(속등자이전)*: 빨리 오르는 자는 넘어지기 쉽다는 뜻으로, 출세가 빠른 사람은 도리어 *재난*이 많음을 비유하는 말.
#사람 #출세 #비유 #*재난*"
* 束馬懸車(속마현거)*: 말을 묶고 *수레*를 매달아 놓는다는 뜻으로, 험난한 산길을 갈 때를 비유하는 말.
"* 束手無策(속수무책)*: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*도리*가 없어 꼼짝 못 함.
#의미 #어찌 #상황 #대책"
"* 束手無策(속수무책)*: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.
#의미 #어찌 #상황 #대*책*"
"* 束脩之禮(속수지례)*: *제자*가 되려고 스승을 처음 뵐 때에 드리는 예물. 예전에, 중국에서 열 조각의 육포를 묶어 드렸다는 데서
유래한다.
#예전 #때 #예물 #사용 #*제자* #스승 #의미 #옛날 #중국 #조각 #처음 #유래 #예절 #육포"
"* 束脩之禮(속수지례)*: 제자가 되려고 *스승*을 처음 뵐 때에 드리는 예물. 예전에, 중국에서 열 조각의 육포를 묶어 드렸다는 데서
유래한다.
#예전 #때 #예물 #사용 #제자 #*스승* #의미 #옛날 #중국 #조각 #처음 #유래 #예절 #육포"
"* 速戰速決(속전속결)*: (1)*싸움*을 오래 끌지 아니하고 빨리 몰아쳐 이기고 짐을 결정함. (2)어떤 일을 빨리 진행하여 빨리
끝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"
"* 粟紅貫朽(속홍관후)*: *곡식*이 붉게 변질되고 돈꿰미가 썩는다는 뜻으로, 태평한 세상에 물자가 남아도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.
#*곡식* #돈 #태평 #상황 #비유 #물자 #세상"
* 粟紅貫朽(속홍관후)*: 곡식이 붉게 변질되고 돈꿰미가 썩는다는 뜻으로, *태평*한 세상에 물자가 남아도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.
* 粟紅貫朽(속홍관후)*: 곡식이 붉게 변질되고 돈꿰미가 썩는다는 뜻으로, 태평한 세상에 물자가 남아도는 *상황*을 비유하는 말.
"* 孫康映雪(손강영설)*: 어려운 *가운데*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. 중국 진(晉)나라의 손강(孫康)이 몹시 가난하여 겨울밤에는
눈빛으로 공부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."
"* 孫康映雪(손강영설)*: 어려운 가운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. 중국 진(晉)나라의 손강(孫康)이 몹시 *가난*하여 겨울밤에는
눈빛으로 공부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."
"* 孫康映雪(손강영설)*: 어려운 가운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. 중국 진(晉)나라의 손강(孫康)이 몹시 가난하여 겨울*밤*에는
눈빛으로 공부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."
"* 孫康映雪(손강영설)*: 어려운 가운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. 중국 진(晉)나라의 손강(孫康)이 몹시 가난하여 겨울밤에는
눈빛으로 공*부하*였다는 데서 유래한다.
#책 #밤 #강 #공부 #눈 #손강 #유래 #겨울철 #나라 #중국 #집안 #가난 #눈빛 #고사 #가운데"
"* 損上剝下(손상박하)*: 위에 손해를 끼치고 *아래*를 빼앗는다는 뜻으로, 관리가 나라에 해를 끼치고 백성의 재물을 빼앗음을 이르는
말."
"* 損上剝下(손상박하)*: 위에 손해를 끼치고 아래를 빼앗는다는 뜻으로, *관리*가 나라에 해를 끼치고 백성의 재물을 빼앗음을 이르는
말.
#백성 #아래 #재물 #나라 #*관리* #손해"
"* 損上益下(손상익하)*: *윗사람*에게 해를 끼쳐서 아랫사람을 이롭게 함.
#아랫사람 #*윗사람* #아래 #의미 #해 #사람"
"* 損上益下(손상익하)*: 윗*사람*에게 해를 끼쳐서 아랫*사람*을 이롭게 함.
#아랫*사람* #윗*사람* #아래 #의미 #해 #*사람*"
"* 損者三樂(손자삼요)*: 사람의 몸에 손실이 되는 세 가지. ≪논어≫에 있는 말로, 분에 넘치게 즐기는 것, 일하지 아니하고 노는
것을 즐기는 것, 주색을 좋아하는 것을 이른다.
#몸 #일 #잔치 #말 #주색 #사치 #손실 #교만 #연락 #편안 #사람"
"* 損者三友(손자삼우)*: 사귀면 손해가 되는 세 종류의 *벗*. 편벽한 *벗*, 착하기만 하고 줏대가 없는 *벗*, 말만 잘하고
성실하지 못한 *벗*을 이른다."
"* 損者三友(손자삼우)*: 사귀면 손해가 되는 세 종류의 벗. 편벽한 벗, 착하기만 하고 줏대가 없는 벗, 말만 잘하고 성실하지 못한
벗을 이른다.
#말 #벗 #편벽 #종류 #손해 #의미 #성실 #줏대"
"* 率馬以驥(솔마이기)*: 예사로운 말을 통솔하는 대는 준마(駿馬)로 한다는 뜻으로, 대중을 지도함에는 훌륭한 *인물*로서 함을
비유하는 말.
#말 #대중 #예사 #비유 #*인물* #준마 #훌륭"
* 率先垂範(솔선수범)*: 남보다 앞장서서 *행동*해서 몸소 다른 사람의 본보기가 됨.
"* 率先垂範(솔선수범)*: 남보다 앞장서서 행동해서 몸소 다른 사람의 본보기가 됨.
#앞 #모*범* #행동 #사람"
"* 率性之謂道(솔성지위도)*: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말한다는 뜻으로, 사람이 *하늘*로부터 받은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리라고
말한다는 의 가치."
"* 率性之謂道(솔성지위도)*: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말한다는 뜻으로,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을 따르는 것을 *도리*라고
말한다는 의 가치.
#말 #본성 #하늘 #도라 #가치 #중용 #사람"
"* 率性之謂道(솔성지위도)*: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말한다는 뜻으로,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리라고 말한다는
의 가치.
#말 #본성 #하늘 #도라 #가치 #중용 #사람"
"* 率獸食人(솔수식인)*: *짐승*을 거느리고 와서 사람을 잡아먹게 한다는 뜻으로, 위정자가 폭정으로 백성을 고통스럽게 함을 이르는 말.
#백성 #위정자 #폭정 #비유 #학정 #고통 #*짐승* #정치 #사람"
"* 率獸食人(솔수식인)*: 짐승을 거느리고 와서 사람을 잡아먹게 한다는 뜻으로, 위정자가 폭정으로 백성을 *고통*스럽게 함을 이르는 말.
#백성 #위정자 #폭정 #비유 #학정 #*고통* #짐승 #정치 #사람"
* 率土之濱(솔토지빈)*: 온 *나라*의 영토 안.
* 送舊迎新(송구영신)*: 묵은해를 보내고 *새*해를 맞음.
"* 松菊主人(송국주인)*: *소나무*와 국화의 주인이라는 뜻으로, 자연 속에 은둔(隱遁)하고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.
#주인 #국화 #자연 #*소나무* #사람"
"* 松菊主人(송국주인)*: 소나무와 *국화*의 주인이라는 뜻으로, 자연 속에 은둔(隱遁)하고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.
#주인 #*국화* #자연 #소나무 #사람"
"* 松菊主人(송국주인)*: 소나무와 국화의 *주인*이라는 뜻으로, 자연 속에 은둔(隱遁)하고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.
#*주인* #국화 #자연 #소나무 #사람"
* 松菊主人(송국주인)*: 소나무와 국화의 주인이라는 뜻으로, *자연* 속에 은둔(隱遁)하고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.
"* 松都契員(송도계원)*: 송도의 계원이라는 뜻으로, 낮은 *지위*나 작은 세력을 믿고 남을 멸시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세력 #낮 #*지위* #사람"
"* 松都契員(송도계원)*: 송도의 계원이라는 뜻으로, 낮은 지위나 작은 *세력*을 믿고 남을 멸시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*세력* #낮 #지위 #사람"
"* 松茂柏悅(송무백열)*: *소나무*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한다는 뜻으로, 벗이 잘되는 것을 기뻐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일 #벗 #나무 #의미 #무성 #잣나무 #*소나무*"
* 松茂柏悅(송무백열)*: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한다는 뜻으로, *벗*이 잘되는 것을 기뻐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"* 松柏之茂(송백지무)*: *소나무*와 잣나무가 항상 푸른 것처럼 영원토록 번영함을 이르는 말.
#영원 #번영 #무성함 #푸른빛 #비유 #백 #잣나무 #*소나무* #성함"
"* 松柏之茂(송백지무)*: 소*나무*와 잣*나무*가 항상 푸른 것처럼 영원토록 번영함을 이르는 말.
#영원 #번영 #무성함 #푸른빛 #비유 #백 #잣*나무* #소*나무* #성함"
* 松柏之茂(송백지무)*: 소나무와 잣나무가 항상 푸른 것처럼 영원토록 번영함을 이르는 말.
"* 宋襄之仁(송양지인)*: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. *중국* 춘추 시대에, 송나라 양공(襄公)이 초나라를 칠 때, 공자(公子)
목이(目夷)가 적이 포진하기 전에 치자고 청하였으나, 양공이 받아들이지 않고 적이 포진하기를 기다리다가 오히려 대패하여 세상 사람들이
비웃었다는 데서 유래한다."
"* 宋襄之仁(송양지인)*: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. 중국 *춘추* 시대에, 송나라 양공(襄公)이 초나라를 칠 때, 공자(公子)
목이(目夷)가 적이 포진하기 전에 치자고 청하였으나, 양공이 받아들이지 않고 적이 포진하기를 기다리다가 오히려 대패하여 세상 사람들이
비웃었다는 데서 유래한다.
#낭패 #사람 #*춘추* #양 #시대 #초나라 #때 #인정 #의미 #중국 #양공 #동정 #공자 #송나라 #유래 #세상"
"* 宋襄之仁(송양지인)*: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. 중국 춘추 *시대*에, 송나라 양공(襄公)이 초나라를 칠 때, 공자(公子)
목이(目夷)가 적이 포진하기 전에 치자고 청하였으나, 양공이 받아들이지 않고 적이 포진하기를 기다리다가 오히려 대패하여 세상 사람들이
비웃었다는 데서 유래한다."
"* 宋襄之仁(송양지인)*: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. 중국 춘추 시대에, 송나라 양공(襄公)이 초나라를 칠 때, *공자*(公子)
목이(目夷)가 적이 포진하기 전에 치자고 청하였으나, 양공이 받아들이지 않고 적이 포진하기를 기다리다가 오히려 대패하여 세상 사람들이
비웃었다는 데서 유래한다.
#낭패 #사람 #춘추 #양 #시대 #초나라 #때 #인정 #의미 #중국 #양공 #동정 #*공자* #송나라 #유래 #세상"
"* 宋襄之仁(송양지인)*: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. 중국 춘추 시대에, 송나라 양공(襄公)이 초나라를 칠 때, 공자(公子)
목이(目夷)가 적이 포진하기 전에 치자고 청하였으나, 양공이 받*아들*이지 않고 적이 포진하기를 기다리다가 오히려 대패하여 세상
사람들이 비웃었다는 데서 유래한다."
"* 宋襄之仁(송양지인)*: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. 중국 춘추 시대에, 송나라 양공(襄公)이 초나라를 칠 때, 공자(公子)
목이(目夷)가 적이 포진하기 전에 치자고 청하였으나, 양공이 받아들이지 않고 적이 포진하기를 기다리다가 오히려 대패하여 세상 사람들이
비웃었다는 데서 *유래*한다."
"* 松竹梅(송죽매)*: *소나무*와 대나무와 매화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.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삼아
왔다.
#추위 #나무 #벗 #그림 #대나무 #의미 #소재 #겨울철 #*소나무* #매화 #활용"
"* 松竹梅(송죽매)*: 소*나무*와 대*나무*와 매화*나무*를 아울러 이르는 말.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
삼아 왔다."
"* 松竹梅(송죽매)*: 소나무와 *대나무*와 매화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.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삼아
왔다.
#추위 #나무 #벗 #그림 #*대나무* #의미 #소재 #겨울철 #소나무 #매화 #활용"
"* 松竹梅(송죽매)*: 소나무와 대나무와 *매화*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.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삼아
왔다.
#추위 #나무 #벗 #그림 #대나무 #의미 #소재 #겨울철 #소나무 #*매화* #활용"
"* 松竹之節(송죽지절)*: *소나무*같이 꿋꿋하고 대나무같이 곧은 절개.
#절개 #나무 #의미 #*소나무* #지조 #대나무"
"* 松竹之節(송죽지절)*: 소나무같이 꿋꿋하고 *대나무*같이 곧은 절개.
#절개 #나무 #의미 #소나무 #지조 #*대나무*"
"* 松風水月(송풍수월)*: *소나무*에 부는 바람과 물에 비친 달이라는 뜻으로, 맑고 깨끗한 것을 비유하는 말.
#달 #바람 #물 #비유 #깨끗 #*소나무*"
* 松風水月(송풍수월)*: 소*나무*에 부는 바람과 물에 비친 달이라는 뜻으로, 맑고 깨끗한 것을 비유하는 말.
* 松風水月(송풍수월)*: 소나무에 부는 *바람*과 물에 비친 달이라는 뜻으로, 맑고 깨끗한 것을 비유하는 말.
"* 碎骨粉身(쇄골분신)*: 뼈를 부수고 몸을 가루로 만든다는 뜻으로, 정성으로 *노력*함을 이르는 말. 또는 그렇게 하여 뼈가 부서지고
몸이 가루가 됨."
"* 灑掃應對(쇄소응대)*: 물을 뿌려 쓸고 응*대한*다는 뜻으로, 집 안팎을 깨끗이 거두고 웃어른의 부름이나 물음에 응하여 상대함을
이르는 말."
* 水廣則魚遊(수광즉어유)*: 물이 넓으면 *물고기*가 모여 논다는 뜻으로, 덕이 있으면 자연히 사람들이 따름을 비유하는 말.
* 水廣則魚遊(수광즉어유)*: 물이 넓으면 물고기가 모여 논다는 뜻으로, 덕이 있으면 *자연*히 사람들이 따름을 비유하는 말.
"* 守口如甁(수구여병)*: 입을 병마개 막듯이 꼭 막는다는 뜻으로, *비밀*을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도록 함을 이르는 말.
#*비밀* #말 #입 #의미 #경계 #누설 #병마개 #사람"
"* 首邱初心(수구초심)*: 언덕에 머리를 향한 처음 마음이라는 뜻으로, *여우*가 죽을 때 머리를 본디 살던 언덕 쪽으로 두고 죽는다는
데서 근본을 잊지 않거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의 의미.
#마음 #처음 #고향 #*여우* #때 #머리 #언덕 #의미 #근본 #쪽"
"* 首邱初心(수구초심)*: 언덕에 머리를 향한 처음 마음이라는 뜻으로,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본디 살던 언덕 *쪽*으로 두고 죽는다는
데서 근본을 잊지 않거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의 의미."
"* 首邱初心(수구초심)*: 언덕에 머리를 향한 처음 마음이라는 뜻으로,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본디 살던 언덕 쪽으로 두고 죽는다는
데서 *근본*을 잊지 않거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의 의미."
"* 獸窮則齧(수궁즉설)*: *짐승*이 궁지에 몰리면 문다는 뜻으로, 사람도 곤궁하여지면 나쁜 짓을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곤궁 #궁지 #의미 #*짐승* #사람"
"* 獸窮則齧(수궁즉설)*: 짐승이 궁지에 몰리면 문다는 뜻으로, 사람도 곤궁하*여지*면 나쁜 짓을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곤궁 #궁지 #의미 #짐승 #사람"
"* 修己治人(수기치인)*: *자신*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림.
#몸 #마음 #완성 #타인 #의미 #교화 #수양 #사상 #다스림 #본질적 #*자신* #가치 #본질"
* 修己治人(수기치인)*: 자신의 *몸*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림.
* 修己治人(수기치인)*: 자신의 몸과 *마음*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림.
"* 水到渠成(수도거성)*: 물이 흐르면 도랑이 이루어진다는 뜻으로, *학문*을 깊이 닦으면 저절로 도가 이루어진다는 의미나, 때가 되면
일이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로 사용됨."
"* 水到渠成(수도거성)*: 물이 흐르면 도랑이 이루어진다는 뜻으로, 학문을 *깊이* 닦으면 저절로 도가 이루어진다는 의미나, 때가 되면
일이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로 사용됨.
#일 #학문 #때 #사용 #물 #의미"
"* 水到渠成(수도거성)*: 물이 흐르면 도랑이 이루어진다는 뜻으로, 학문을 깊이 닦으면 저절로 도가 이루어진다는 의미나, 때가 되면
일이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로 *사용*됨."
"* 垂頭塞耳(수두색이)*: *머리*를 숙이고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, *머리* 숙여 아첨하며 귀를 막고 세간의 비난을 염두에 두지 않아
아첨만 일삼는다는 의미."
"* 水落石出(수락석출)*: (1)물이 말라 밑*바닥*의 돌이 드러난다는 뜻으로, 겨울 강의 경치를 이르는 말. (2)어떤 일이 나중에
명백히 드러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일 #강 #밑*바닥* #진상 #나중 #사건 #물 #사용 #의미 #경치 #돌이 #말라 #겨울"
"* 垂簾聽政(수렴청정)*: *임금*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을 때, 왕대비나 대왕대비가 이를 도와 정사를 돌보던 일. 왕대비가 신하를
접견할 때 그 앞에 발을 늘인 데서 유래한다."
"* 垂簾聽政(수렴청정)*: 임금이 어린 *나이*로 즉위하였을 때, 왕대비나 대왕대비가 이를 도와 정사를 돌보던 일. 왕대비가 신하를
접견할 때 그 앞에 발을 늘인 데서 유래한다."
"* 垂簾聽政(수렴청정)*: 임금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을 때, *왕*대비나 대*왕*대비가 이를 도와 정사를 돌보던 일. *왕*대비가
신하를 접견할 때 그 앞에 발을 늘인 데서 유래한다."
"* 垂簾聽政(수렴청정)*: 임금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을 때, 왕대비나 대왕대비가 이를 도와 정사를 돌보던 일. 왕대비가 *신하*를
접견할 때 그 앞에 발을 늘인 데서 유래한다.
#왕대비 #일 #대신 #*신하* #왕 #앞 #임금 #때 #정사 #천자 #나이 #대비 #유래"
"* 垂簾聽政(수렴청정)*: 임금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을 때, 왕대비나 대왕대비가 이를 도와 정사를 돌보던 일. 왕대비가 신하를 접견할
때 그 앞에 발을 늘인 데서 *유래*한다."
* 水流雲空(수류운공)*: 흐르는 물과 하늘에 뜬 *구름*이라는 뜻으로, 지나간 일이 흔적 없이 사라져 허무함을 이르는 말.
"* 水流雲空(수류운공)*: 흐르는 물과 하늘에 뜬 구름이라는 뜻으로, 지나간 일이 흔적 없이 *사라*져 허무함을 이르는 말.
#일 #뜬구름 #물 #비유 #허무 #흔적 #구름 #하늘"
"* 水流雲空(수류운공)*: 흐르는 물과 하늘에 뜬 구름이라는 뜻으로, 지나간 일이 흔적 없이 사라져 *허무*함을 이르는 말.
#일 #뜬구름 #물 #비유 #*허무* #흔적 #구름 #하늘"
"* 垂名竹帛(수명죽백)*: 이름을 죽간과 *비단*에 드리운다는 뜻으로, 입신양명(立身揚名)하여 이름을 역사에 남긴다는 의미.
#이름 #역사 #의미 #*비단* #죽간"
* 垂名竹帛(수명죽백)*: 이름을 죽간과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, 입신양명(立身揚名)하여 이름을 역사에 남긴다는 *의미*.
* 垂名竹帛(수명죽백)*: 이름을 죽간과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, 입신양명(立身揚名)하여 이름을 역사에 남긴다는 의미.
* 首尾相應(수미상응)*: (1)서로 응하여 도와줌. (2)양*쪽* 끝이 서로 통함.
"* 隨方就圓(수방취원)*: 네모진 것을 따르면서 둥근 것으로 이룬다는 뜻으로, 융통성이 있어 다방면으로 *재주*를 발휘해 무엇이든 잘
적응한다는 의미."
"* 隨病投藥(수병투약)*: 병에 따라 약을 쓴다는 뜻으로, 상대방의 *학문*이나 교양 등의 정도에 따라 설법(說法)을 하는 것을
비유하는 말.
#교양 #설법 #*학문* #병 #비유 #약 #상대방 #정도"
"* 隨病投藥(수병투약)*: 병에 따라 약을 쓴다는 뜻으로, 상대방의 학문이나 교양 등의 *정도*에 따라 설법(說法)을 하는 것을
비유하는 말."
"* 隨病投藥(수병투약)*: 병에 따라 약을 쓴다는 뜻으로, 상대방의 학문이나 교양 등의 정도에 따라 설*법*(說法)을 하는 것을
비유하는 말."
* 壽福康寧(수복강녕)*: 오래 살고 *복*을 누리며 건강하고 평안함.
"* 壽福康寧(수복강녕)*: 오래 살고 복을 *누리*며 건강하고 평안함.
#건강 #복 #평안 #탈 #장수 #기원 #사용 #의미 #행복"
* 壽福康寧(수복강녕)*: 오래 살고 복을 누리며 건*강*하고 평안함.
* 守常不變(수상불변)*: 떳떳함을 지켜 변하지 않는다는 뜻으로, 정당한 *도리*(道理)를 지키며 부당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.
"* 首鼠兩端(수서양단)*: *구멍*에서 머리를 내밀고 나갈까 말까 망설이는 쥐라는 뜻으로, 머뭇거리며 진퇴나 거취를 정하지 못하는
상태를 이르는 말.
#일 #*구멍* #주저 #끝 #머리 #의미 #쥐 #결정 #양쪽 #진퇴 #쪽 #상태"
"* 首鼠兩端(수서양단)*: 구멍에서 *머리*를 내밀고 나갈까 말까 망설이는 쥐라는 뜻으로, 머뭇거리며 진퇴나 거취를 정하지 못하는
상태를 이르는 말."
"* 首鼠兩端(수서양단)*: 구멍에서 머리를 내밀고 나갈까 말까 망설이는 쥐라는 뜻으로, 머뭇거리며 진퇴나 거취를 정하지 못하는 *상태*를
이르는 말.
#일 #구멍 #주저 #끝 #머리 #의미 #쥐 #결정 #양쪽 #진퇴 #쪽 #*상태*"
"* 首鼠兩端(수서양단)*: 구멍에서 머리를 내밀고 나갈까 말까 망설이는 쥐라는 뜻으로, 머뭇거리며 진퇴나 거취를 정하지 못하는 상태를
이르는 말.
#일 #구멍 #주저 #끝 #머리 #의미 #쥐 #결정 #양쪽 #진퇴 #쪽 #상태"
"* 水泄不通(수설불통)*: 물이 샐 틈이 없다는 뜻으로, 경비나 단속이 엄하여 교통이나 통신 또는 *비밀* 따위가 새지 못함을 이르는
말.
#새 #*비밀* #교통 #물 #따위"
* 隨聲附和(수성부화)*: *소리*에 따라 붙어서 화합한다는 뜻으로, 소문만 듣고 이내 맹목적으로 남의 의견에 따름을 이르는 말.
"* 隨聲附和(수성부화)*: 소리에 따라 붙어서 화합한다는 뜻으로, 소문만 듣고 이내 맹*목적*으로 남의 의견에 따름을 이르는 말.
#따름 #소문 #소리 #의견 #화합 #맹*목적*"
* 袖手傍觀(수수방관)*: 팔짱을 끼고 보고만 있다는 뜻으로, 간섭하거나 거들지 아니하고 그대로 버려둠을 이르는 말.
"* 囚首喪面(수수상면)*: 죄수의 머리에 상주의 *얼굴*이라는 뜻으로, 죄수처럼 머리를 빗지 않고 상주(喪主)처럼 *얼굴*을 씻지
않듯이 용모를 꾸미지 않음을 형용한 말.[본래 송(宋)나라의 왕안석(王安石)을 기롱(欺弄)한 말에서 연유함]."
"* 囚首喪面(수수상면)*: 죄수의 머리에 상주의 얼굴이라는 뜻으로, 죄수처럼 머리를 빗지 않고 상주(喪主)처럼 얼굴을 씻지 않듯이
*용모*를 꾸미지 않음을 형용한 말.[본래 송(宋)나라의 왕안석(王安石)을 기롱(欺弄)한 말에서 연유함].
#*용모* #형용 #말 #상주 #머리 #나라 #왕안석 #죄수 #얼굴 #본래 #연유"
"* 囚首喪面(수수상면)*: 죄수의 머리에 상주의 얼굴이라는 뜻으로, 죄수처럼 머리를 빗지 않고 상주(喪主)처럼 얼굴을 씻지 않듯이
용모를 꾸미지 않음을 *형용*한 말.[본래 송(宋)나라의 왕안석(王安石)을 기롱(欺弄)한 말에서 연유함].
#용모 #*형용* #말 #상주 #머리 #나라 #왕안석 #죄수 #얼굴 #본래 #연유"
"* 囚首喪面(수수상면)*: 죄수의 머리에 상주의 얼굴이라는 뜻으로, 죄수처럼 머리를 빗지 않고 상주(喪主)처럼 얼굴을 씻지 않듯이
용모를 꾸미지 않음을 형용한 말.[*본래* 송(宋)나라의 왕안석(王安石)을 기롱(欺弄)한 말에서 연유함].
#용모 #형용 #말 #상주 #머리 #나라 #왕안석 #죄수 #얼굴 #*본래* #연유"
* 數數往來(삭삭왕래)*: 자주 *왕*래(往來)하는 일.
* 首身分離(수신분리)*: *머리*와 몸통이 서로 떨어진다는 뜻으로, 참형(斬刑)을 당함을 이르는 말.
* 首身分離(수신분리)*: 머리와 *몸*통이 서로 떨어진다는 뜻으로, 참형(斬刑)을 당함을 이르는 말.
"* 首身分離(수신분리)*: 머리와 몸통이 서로 떨어진다는 뜻으로, 참형(斬刑)을 당함을 이르는 말.
#참형 #머리"
"* 修身齊家(수신제가)*: *몸*과 마음을 닦아 수양하고 집안을 다스림.
#일 #*몸* #마음 #심신 #의미 #수양 #다스림 #집안 #자신"
"* 修身齊家(수신제가)*: 몸과 *마음*을 닦아 수양하고 집안을 다스림.
#일 #몸 #*마음* #심신 #의미 #수양 #다스림 #집안 #자신"
"* 修身齊家(수신제가)*: 몸과 마음을 닦아 *수양*하고 집안을 다스림.
#일 #몸 #마음 #심신 #의미 #*수양* #다스림 #집안 #자신"
"* 修身齊家(수신제가)*: 몸과 마음을 닦아 수양하고 *집안*을 다스림.
#일 #몸 #마음 #심신 #의미 #수양 #다스림 #*집안* #자신"
"* 修身齊家(수신제가)*: 몸과 마음을 닦아 수양하고 집안을 다스림.
#일 #몸 #마음 #심신 #의미 #수양 #다스림 #집안 #자신"
"* 水深魚聚(수심어취)*: 물이 깊으면 *물고기*가 모여든다는 뜻으로, 덕(德) 높은 군자에게는 사람들이 스스로 모여듦을 비유하는 말.
#군자 #사람 #물 #비유"
* 水深魚聚(수심어취)*: 물이 깊으면 물고기가 모여든다는 뜻으로, 덕(德) 높은 *군자*에게는 사람들이 스스로 모여듦을 비유하는 말.
"* 羞惡之心(수오지심)*: 사단(四端)의 하나.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착하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을 이른다. 인의예지(仁義禮智)
*가운데* 의에서 우러나온다."
"* 手握汗(수악한)*: 불끈 쥔 손*바닥*에서 땀이 난다는 뜻으로, 위험한 광경이나 사건의 추이를 보고 두렵고 위급하여 자신도 모르게
몸이 긴장됨을 이르는 말.
#몸 #손*바닥* #사건 #위험 #땀 #위급 #자신"
"* 手握汗(수악한)*: 불끈 쥔 손바닥에서 땀이 난다는 뜻으로, 위험한 광경이나 사건의 추이를 보고 두렵고 *위급*하여 자신도 모르게
몸이 긴장됨을 이르는 말.
#몸 #손바닥 #사건 #위험 #땀 #*위급* #자신"
"* 手握汗(수악한)*: 불끈 쥔 손바닥에서 땀이 난다는 뜻으로, 위험한 광경이나 사건의 추이를 보고 두렵고 위급하여 *자신*도 모르게
몸이 긴장됨을 이르는 말.
#몸 #손바닥 #사건 #위험 #땀 #위급 #*자신*"
"* 手握汗(수악한)*: 불끈 쥔 손바닥에서 땀이 난다는 뜻으로, 위험한 광경이나 사건의 추이를 보고 두렵고 위급하여 자신도 모르게 *몸*이
긴장됨을 이르는 말.
#*몸* #손바닥 #사건 #위험 #땀 #위급 #자신"
"* 水魚之交(수어지교)*: (1)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*물고기*와 물의 관계라는 뜻으로,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
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(2)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."
"* 水魚之交(수어지교)*: (1)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*관계*라는 뜻으로,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
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(2)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."
"* 水魚之交(수어지교)*: (1)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라는 뜻으로, 아주 *친밀*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
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(2)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의 *친밀*함을 이르는 말.
#이름 #신하 #*친밀*함 #임금 #관계 #물 #비유 #물의 #*친밀* #부부 #화목 #화목함 #사이"
"* 水魚之交(수어지교)*: (1)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라는 뜻으로,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
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(2)임금과 *신하* 또는 부부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."
"* 水魚之交(수어지교)*: (1)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라는 뜻으로,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
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(2)임금과 신하 또는 *부부*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."
"* 數魚混水(수어혼수)*: 몇 *마리*의 물고기가 물을 흐린다는 뜻으로, 소수의 장난으로 인하여 다수가 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.
#물 #*마리* #소수 #장난 #다수"
"* 數魚混水(수어혼수)*: 몇 마리의 *물고기*가 물을 흐린다는 뜻으로, 소수의 장난으로 인하여 다수가 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.
#물 #마리 #소수 #장난 #다수"
* 首如飛蓬(수여비봉)*: *머리*가 날리는 쑥대 같다는 뜻으로, *머리*털의 흐트러진 모양을 쑥의 흐트러진 모양에 견주어 이르는 말.
"* 首如飛蓬(수여비봉)*: 머리가 날리는 쑥대 같다는 뜻으로, *머리털*의 흐트러진 모양을 쑥의 흐트러진 모양에 견주어 이르는 말.
#머리 #쑥 #*머리털* #모양 #쑥대"
* 首如飛蓬(수여비봉)*: 머리가 날리는 쑥대 같다는 뜻으로, 머리털의 흐트러진 *모양*을 쑥의 흐트러진 *모양*에 견주어 이르는 말.
"* 水湧山出(수용산출)*: *물*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,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
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"
"* 水湧山出(수용산출)*: 물이 샘솟고 *산*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,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
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재주 #풍부 #훌륭 #물 #비유 #생각 #*산* #시문"
"* 水湧山出(수용산출)*: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, *생각*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
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재주 #풍부 #훌륭 #물 #비유 #*생각* #산 #시문"
"* 水湧山出(수용산출)*: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, 생각과 *재주*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
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*재주* #풍부 #훌륭 #물 #비유 #생각 #산 #시문"
"* 水湧山出(수용산출)*: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,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*부하*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
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재주 #풍부 #훌륭 #물 #비유 #생각 #산 #시문"
"* 水湧山出(수용산출)*: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,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 짓는
것을 *비유*적으로 이르는 말.
#재주 #풍부 #훌륭 #물 #*비유* #생각 #산 #시문"
"* 水湧山出(수용산출)*: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,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 짓는
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재주 #풍부 #훌륭 #물 #비유 #생각 #산 #시문"
"* 垂于竹帛(수우죽백)*: *대나무*와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,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죽간(竹簡)이나 비단에 글을 써서 기록으로 남긴
것에서 이름을 역사에 남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#남김 #이름 #역사 #발명 #비유 #비단 #기록 #종이 #*대나무* #죽간"
"* 垂于竹帛(수우죽백)*: 대*나무*와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,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죽간(竹簡)이나 비단에 글을 써서 기록으로 남긴
것에서 이름을 역사에 남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#남김 #이름 #역사 #발명 #비유 #비단 #기록 #종이 #대*나무* #죽간"
"* 垂于竹帛(수우죽백)*: 대나무와 *비단*에 드리운다는 뜻으로,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죽간(竹簡)이나 *비단*에 글을 써서 기록으로
남긴 것에서 이름을 역사에 남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#남김 #이름 #역사 #발명 #비유 #*비단* #기록 #종이 #대나무 #죽간"
"* 垂于竹帛(수우죽백)*: 대나무와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,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죽간(竹簡)이나 비단에 글을 써서 기록으로 남긴
것에서 이름을 역사에 남김을 *비유*하여 이르는 말."
"* 垂于竹帛(수우죽백)*: 대나무와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,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죽간(竹簡)이나 비단에 글을 써서 기록으로 남긴
것에서 이름을 역사에 남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#남김 #이름 #역사 #발명 #비유 #비단 #기록 #종이 #대나무 #죽간"
"* 誰怨誰咎(수원수구)*: 누구를 *원망*하고 누구를 탓하겠냐는 뜻으로, 남을 *원망*하거나 탓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.
#*원망* #누구 #허물"
* 誰怨誰咎(수원수구)*: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겠냐는 뜻으로, *남*을 원망하거나 탓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.
"* 水月鏡花(수월경화)*: 물에 비친 달과 거울 속에 비친 *꽃*이라는 뜻으로, 볼 수는 있어도 손으로 잡을 수 없는 것을 비유하여
이르는 말."
"* 秀而不實(수이부실)*: 자라났으나 열매를 맺지 못했다는 뜻으로, *학문*은 진보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중도에서 그침을 비유하여
이르는 말."
"* 秀而不實(수이부실)*: 자라났으나 열매를 맺지 못했다는 뜻으로, 학문은 진보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*중도*에서 그침을 비유하여
이르는 말.
#진보 #학문 #완성 #*중도* #비유 #열매"
"* 搜章摘句(수장적구)*: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,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*기억*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남의 문장을
표절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.
#중요 #사용 #문장 #의미 #구절 #*기억*"
"* 搜章摘句(수장적구)*: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,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*사용*하거나 남의 문장을
표절한다는 의미로도 *사용*됨.
#중요 #*사용* #문장 #의미 #구절 #기억"
"* 水滴石穿(수적석천)*: 물*방울*이 모여 돌을 뚫는다는 뜻으로, 꾸준히 노력하면 큰일을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.
#미미 #일 #노력 #물 #비유 #*방울* #물*방울* #큰일 #힘 #돌"
* 水滴石穿(수적석천)*: 물방울이 모여 돌을 뚫는다는 뜻으로, 꾸준히 *노력*하면 큰일을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.
"* 水積成川(수적성천)*: 물이 모이면 시내를 이룬다는 뜻으로, 물*방울*도 쌓이면 내를 이룰 수 있듯이 작은 것이 모여 큰 것을 이룰
수 있다는 의미.
#의미 #물*방울* #시내 #물"
"* 手足之愛(수족지애)*: 손과 발의 *사랑*이라는 뜻으로, 손발 같은 형제간의 우애(友愛)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.
#*사랑* #비유 #형제간 #손발 #우애"
* 手足之愛(수족지애)*: 손과 발의 사랑이라는 뜻으로, 손발 같은 *형제*간의 우애(友愛)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.
"* 守株待兎(수주대토)*: 그루터기를 지키며 *토끼*를 기다린다는 뜻으로, 변통을 모르고 어리석고 고집스러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#*토끼* #고집 #변통 #비유"
"* 守株待兎(수주대토)*: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린다는 뜻으로, *변통*을 모르고 어리석고 고집스러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#토끼 #고집 #*변통* #비유"
"* 水至淸無魚(수지청무어)*: 물이 너무 맑으면 *물고기*가 없다는 뜻으로, 사람이 너무 지나치게 따지고 재면 따르는 무리가 없다는
의미. [= 水淸無大魚(수청무대어)].
#의미 #무리 #물 #사람"
"* 水至淸無魚(수지청무어)*: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없다는 뜻으로, 사람이 너무 지나치게 따지고 재면 따르는 *무리*가 없다는
의미. [= 水淸無大魚(수청무대어)]."
"* 獸聚鳥散(수취조산)*: *짐승*처럼 모였다가 새처럼 흩어진다는 뜻으로, 정돈되지 못한 오합지중(烏合之衆)의 의미로 사용됨.
#새 #정돈 #사용 #의미 #*짐승*"
* 獸聚鳥散(수취조산)*: 짐승처럼 모였다가 *새*처럼 흩어진다는 뜻으로, 정돈되지 못한 오합지중(烏合之衆)의 의미로 사용됨.
"* 獸聚鳥散(수취조산)*: 짐승처럼 모였다가 새처럼 흩어진다는 뜻으로, 정돈되지 못한 오합지중(烏合之衆)의 의미로 *사용*됨.
#새 #정돈 #*사용* #의미 #짐승"
* 獸聚鳥散(수취조산)*: 짐승처럼 모였다가 새처럼 흩어진다는 뜻으로, 정돈되지 못한 오합지중(烏合之衆)의 의미로 사용됨.
"* 壽則多辱(수즉다욕)*: 오래 살수록 그만큼 욕됨이 많음을 이르는 말. ≪*장자*≫ 에 나오는 말이다.
#말 #표현 #고생 #*장자* #욕"
"* 手下親兵(수하친병)*: (1)자기에게 직접 *딸*린 병졸. (2)자기의 손발처럼 가까이 두고 쓰는 부하.
#부하 #마음 #병졸 #병사 #사용 #의미 #손발 #사람"
"* 手下親兵(수하친병)*: (1)자기에게 직접 딸린 병졸. (2)자기의 손발처럼 가까이 두고 쓰는 *부하*.
#*부하* #마음 #병졸 #병사 #사용 #의미 #손발 #사람"
"* 修學務早(수학무조)*: *학*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, *학*문의 수행은 기억력이 왕성한 소년시절에 해야
한다는 의미."
"* 修學務早(수학무조)*: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*힘*써야 한다는 뜻으로, 학문의 수행은 기억력이 왕성한 소년시절에 해야 한다는
의미."
"* 修學務早(수학무조)*: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, *학문*의 수행은 기억력이 왕성한 소년시절에 해야 한다는
의미.
#일 #*학문* #소년 #때 #의미 #학업 #시절 #수행 #왕성"
"* 修學務早(수학무조)*: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, 학문의 *수행*은 기억력이 왕성한 소년시절에 해야 한다는
의미.
#일 #학문 #소년 #때 #의미 #학업 #시절 #*수행* #왕성"
"* 修學務早(수학무조)*: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, 학문의 수행은 *기억*력이 왕성한 소년시절에 해야 한다는
의미.
#일 #학문 #소년 #때 #의미 #학업 #시절 #수행 #왕성"
"* 修學務早(수학무조)*: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, 학문의 수행은 기억력이 *왕*성한 소년시절에 해야 한다는
의미."
"* 修學務早(수학무조)*: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, 학문의 수행은 기억력이 *왕성*한 소년시절에 해야 한다는
의미.
#일 #학문 #소년 #때 #의미 #학업 #시절 #수행 #*왕성*"
"* 修學務早(수학무조)*: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, 학문의 수행은 기억력이 왕성한 *소년*시절에 해야 한다는
의미.
#일 #학문 #*소년* #때 #의미 #학업 #시절 #수행 #왕성"
"* 修學務早(수학무조)*: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, 학문의 수행은 기억력이 왕성한 소년*시절*에 해야 한다는
의미.
#일 #학문 #소년 #때 #의미 #학업 #*시절* #수행 #왕성"
* 水旱蟲雹霜(수한충박상)*: 농사에 피해를 입히는 다섯 가지 *재앙*. 수해, 가뭄, 병충해, 우박, 서리를 이른다.
"* 隨鄕入鄕(수향입향)*: 향리를 따라 향리에 들어간다는 뜻으로, 그 마을에 들어가면 그 마을의 *풍속*과 습관을 따른다는 의미.
#마을 #*풍속* #의미 #향리 #습관"
"* 水火無交(수화무교)*: 물과 불도 교류함이 없다는 뜻으로, 물이나 불처럼 *생활*의 필수품도 서로 빌리지 않는 것처럼 아주 담을
쌓고 지낸다는 의미.
#불도 #불 #물 #의미 #*생활*"
"* 水火無交(수화무교)*: 물과 불도 교류함이 없다는 뜻으로, 물이나 불처럼 생활의 필수품도 *서로* 빌리지 않는 것처럼 아주 담을
쌓고 지낸다는 의미."
* 水火相克(수화상극)*: 물과 불이 *서로* 부딪힌다는 뜻으로, 수화(水火)가 용납되지 못하는 것처럼 *서로* 원수 사이가 되는 것.
* 水火相克(수화상극)*: 물과 불이 서로 부딪힌다는 뜻으로, 수화(水火)가 용납되지 못하는 것처럼 서로 원수 *사이*가 되는 것.
"* 受和受采(수화수채)*: 받*아들*여 화합하고 받*아들*여 채색된다는 뜻으로, 단 맛은 다른 맛과 잘 조화되고, 흰색은 다른 색과 잘
조화된다는 의미에서 진실한 성품을 가진 사람은 예의를 잘 익혀 행할 수 있다는 의미를 비유한 말."
"* 受和受采(수화수채)*: 받아들여 화합하고 받아들여 채색된다는 뜻으로, 단 맛은 다른 맛과 잘 조화되고, 흰색은 다른 색과 잘
조화된다는 의미에서 진실한 *성품*을 가진 사람은 예의를 잘 익혀 행할 수 있다는 의미를 비유한 말.
#조화 #예의 #채색 #흰색 #비유 #의미 #화합 #진실 #맛 #*성품* #사람"
* 羞花閉月(수화폐월)*: *꽃*도 부끄러워하고 달도 숨는다는 뜻으로, 여인의 얼굴과 맵시가 매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"* 羞花閉月(수화폐월)*: 꽃도 부끄러워하고 달도 숨는다는 뜻으로, *여인*의 얼굴과 맵시가 매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달 #미인 #*여인* #맵시 #비유 #꽃 #아름다움 #얼굴"
* 羞花閉月(수화폐월)*: 꽃도 부끄러워하고 달도 숨는다는 뜻으로, 여인의 *얼굴*과 맵시가 매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"* 羞花閉月(수화폐월)*: 꽃도 부끄러워하고 달도 숨는다는 뜻으로, 여인의 얼굴과 맵시가 매우 *아름다움*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#달 #미인 #여인 #맵시 #비유 #꽃 #*아름다움* #얼굴"
* 熟讀玩味(숙독완미)*: 익숙하게 읽어 *깊이* 음미한다는 뜻으로, 익숙하도록 읽어 뜻을 충분히 음미한다는 의미.
"* 菽麥不辨(숙맥불변)*: 콩인지 *보리*인지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, 사리 분별을 못 하고 세상 물정을 잘 모름을 이르는 말.
#모름 #사리 #사람 #콩 #물정 #*보리* #무식 #비유 #구별 #분별 #세상"

반응형

댓글.